|
여관의 정복차림은 주로 궁전에서 근무한 여관들의 정복차림을 가리킨다. 그러나 여기서는 상궁의 정복차림만을 대표적으로 취급한다. 상궁은 내명부에 소속되어 정5품의 벼슬 등급을 가진 궁녀들의 책임자격의 여관이었다. 상궁과 같은 여자들은 계급국가가 형성된 이후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옷차림에 대해서는 조선시대에 와서야 알 수 있다. 조선 말기까지 전해온 유물에 의하면 상궁은 일상시에 치마, 저고리를 입고 생활하였지만 상궁으로서 공식적인 자리에 나설 때에는 원삼차림이나 당의차림을 하였다.
상궁의 원삼차림은 궁중이나 국가적인 경삿날과 큰 행사가 있을 때 예의를 갖추어 차려 입는 최대의 예복차림이었다. 상궁이 입는 원삼은 왕비의 원삼과는 달리 연두색이었고 끝동에는 황색, 푸른색, 붉은색, 흰색 등 네 가지 색깔의 색동을 닮으로써 왕비의 원삼과 구별되게 하였다. 상궁이 원삼차림을 할 때에는 머리에 떠구지장식을 하였다. 떠구지는 나무를 깎아서 높이 틀어올린 머리모양으로 만든 것인데 상궁은 원삼을 입을 때 이것을 머리에 얹어 마치 머리를 높이 틀어올린 것처럼 보이게 하였다.
상궁의 당의차림은 평시에 궁중에서 공식적인 자리에 나설 때 차려 입는 원삼차림 다음가는 예복차림이었다. 상궁의 당의는 왕비의 것과는 달리 연한 풀색이었으며 보를 달지 않았다. 상궁이 당의차림을 할 때는 족두리나 화관을 썼다. 상궁 밑에서 움직이는 궁녀들의 옷차림도 대체로 상궁의 옷차림과 비슷하였다. 이상에서 과거에 있었던 대표적인 관복차림에 대하여 개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발생과 함께 층층으로 된 위계제도와 관료기구가 수립되고 그에 따라 관복제도가 제정된 것으로 보이며 삼국시대에는 이미 정연한 관복 갖춤새가 존재하였다. 삼국시대의 관복차림은 주로 머리쓰개, 겉옷, 허리띠, 신발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갖춤새는 얼마간의 변화는 있었으나 기본적으로 조선 말기까지 유지되었다. 봉건통치자들의 신분과 벼슬 등급의 높고 낮음은 주로 머리쓰개, 겉옷 등의 재료와 형태, 무늬, 색깔 및 치렛거리에서 표시되었다.
관복에서 특히 색과 무늬, 재료는 계급, 신분을 나타내는 기본요소였다. 벼슬 등급과 신분이 높을수록 고상한 색을 썼고 같은 꽃무늬라도 아름답고 향기로운 것, 같은 환상적 동물무늬라 해도 유력하고 우월한 것을 택했으며 재료도 값진 것을 이용하였다. 색깔에도 황색, 붉은색, 자주색을 가장 귀한 것으로 쳤는데 황색은 역대 왕조의 국왕도 쓰지 못했고 고종이 황제가 된 다음에야 비로소 예복에 이용하였다. 재료에서도 직금한 비단은 왕족만이 쓸 수 있었고 무늬 있는 고급비단은 거의 당상관의 전용으로 되어 있었다. 관복으로 이용된 겉옷에는 곧은 깃과 둥근 깃이 있었지만 그 가운데서 곧은 깃 겉옷이 기본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 말기에 와서는 둥근 깃 겉옷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관복의 종류는 여러 가지였으나 어느 관복이든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한복에 고유한 고름이 달려 있었고 곧은 깃으로 된 관복과 일부 둥근 깃으로 된 관복에는 우리 민족 옷에서만 볼 수 있는 동정이 달려 있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관복이 비록 겉보기와 일부 형식에서 이웃 나라들의 관복과 유사한 점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우리 민족옷에 바탕을 둔 우리 민족 고유의 관복이었음을 말하여 준다.
지난날 관복은 계급국가의 형성과 함께 발생한 후 어느 사회에서나 해당 시기의 통치제도와 지배계급의 지위를 유지하고 공고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관복의 이러한 역할과 통치자들의 취향으로 인하여 그것은 어떤 종류의 것이거나를 막론하고 일상옷보다 거추장스러웠고 허례허식적인 측면이 많았다.
관복은 유구한 역사적 시기를 거쳐오면서 끊임없이 변화 발전해 왔다. 15세기를 전후에 관복의 차림새도 가장 완비되었으며 형식에서도 가장 화려하고 관료들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한 격식도 요란하였으며 허례허식도 그만큼 많았다. 그러나 근대적인 개혁들이 추진되면서 관복차림에서 허례허식적인 요소들이 도태되어 가고 실용적인 내용이 조장되었으며 허식의 전형이었던 치렛거리들은 간소화되거나 없어졌다. 그리하여 관복의 변천과정은 동시에 변모되어 가는 사회상을 보여주는 뚜렷한 증거물이기도 하였다. 관복은 비록 백성들에 대한 지배계급의 통치수단의 하나로 기여하여 왔지만 거기에는 우리 민족의 섬세한 바느질솜씨와 높은 공예적 기교들이 담겨져 있었다. 이것은 해당 시기 우리 선조들의 높은 창조적 재능을 반영한 것이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