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옷차림풍습 > 관복차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왕의 정복
왕비의 정복
공복
조복
상복
제복
군복
아전의 옷
별감의 옷
라장의 옷
조예의 옷
인로의 옷
라졸의 옷
여관의 정복
북한지역정보넷 나졸의 옷
나졸은 조선시대에 흔히 사령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죄인을 문초할 때 볼기를 치는 일을 맡아하였다. 포도청에 속한 나졸들은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순찰하거나 죄인을 체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조선 말기의 유물과 직관 자료들을 종합해 보면 당시 나졸들의 옷차림은 흰 바지, 저고리에 ‘흑의’ 라는 검은 덧옷을 입고 흰 수건을 머리에 동이고 패랭이를 썼으며 짚신을 신었다. 흑의는 깃이 없고 맞섶이었으며 소매가 저고리만큼 길었고 길이는 허리를 약간 넘을 정도였다. 바지에는 대님이 달려 있어서 그것으로 바짓가랑이 끝을 좁혀 맸으며 행전을 쳤다. 나졸들의 이렇듯 간편한 옷차림은 민첩한 활동을 요구하는 그들의 직업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위에서 지적한 군복의 전복(쾌자), 더그레, 나장이 입은 작의, 나졸이 입은 흑의 등 겉옷들은 상호 연관을 가진 옷으로서 그 연원이 매우 오래다.

안악3호무덤 벽화에서 장하독이 입고 서 있는 옷은 흑의처럼 깃이 없고 맞섶이며 길이도 얼마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소매도 같다. 그러므로 이 두 옷은 형태가 같다. 그리고 전복(쾌자), 작의, 더그레 등도 깃이 없고 맞섶으로 된 점은 장하독의 겉옷과 공통성을 가진다. 이러한 공통성은 흑의, 전복, 작의, 더그레 등의 옷이 안악3호무덤 벽화의 장하독의 겉옷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하여 고구려 때의 깃이 없고 맞섶으로 된 짧은 겉옷이 그 이후에도 계승되어 흑의로 되었거나 또 길이만 길게 하여 겨드랑이 아래를 터지게 한 것이 더그레가 되고 또 더그레에서의 소매만 없앤 것이 전복이나 작의가 된 것이라고 짐작된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 옷차림풍습의 역사개관
    - 일상옷차림
    - 예복차림
    - 관복차림
    - 무대옷차림
    - 옷감의 색깔 및 무늬
    - 옷짓기와 옷보관 관습
    - 옷차림의 특징과 예절
    - 옷차림의 계승발전
    - 침구관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