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옷차림풍습 > 예복차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어린이예복
첫돌옷
3.7날옷과 백날옷
관례옷
남자 관례옷
녀자 계례옷
혼례옷
남자 혼례옷
녀자 혼례옷
환갑옷
상제례옷
수의
상례옷
제례옷
명절옷
설명절옷
단오명절옷
북한지역정보넷 제례옷
제례옷은 죽은 사람을 추모하여 지내는 제사 때에 입는 옷이다. 조선 말기에 제례는 유교적인 격식에 의하여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제사에는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일정한 기간 상복을 입고 있는 동안 지내는 제사인 흉제와 상복을 벗은 후에 지내는 제사인 길제가 있었다. 여기서 말하는 제례옷은 3년간의 상복기간에 지내는 제사인 흉제 즉 삼우제(三虞祭)와 졸곡(卒哭), 소상(小祥), 대상(大祥), 담제(?祭) 때에 입는 옷을 의미한다.

남자 제례옷은 관, 최의, 최상, 중의, 행전, 요대, 교대, 지팡이, 신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관은 상복 때의 관과 같은 형태인데 좀 가는 연포(날것을 잿물에 삶아서 누운 베)로 만들었다. 효건과 굴건도 같은 재료로 만들었다. 최의, 최상도 상복과 같은 형태인데 모두 가는 연포로 만들었다. 참최의 경우 옷단을 꿰매지 않았고 눈물받이나 부판 등은 없이 지었다. 중의나 행전은 좀 가는 연포로 만들었으며 요대는 칡껍질을 약간 물에 담그었다가 만들었는데 끈은 베끈으로 하였다. 교대도 좀 가는 연포로 만들었으며 지팡이는 초상 때에 사용하던 것을 썼다. 그리고 신발은 삼노끈으로 만들었다.

여자 제례복은 관(족두리), 최의, 최상, 수질, 교대, 지팡이, 신발로 구성되어 있었다. 관과 지팡이는 초상 때에 쓰던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최의, 최상, 교대는 남자의 것과 같이 만들었다. 수질은 칡을 물에 약간 담그었다가 만들었으며 신발은 삼노끈으로 삼은 혜를 신었다.

흉제 때에 상제들은 상복기간이라고 하여 제사 때마다 이와 같이 까다롭게 격식화된 옷을 갖추어 입어야 하였다. 그러나 흉제 밖에 조상이나 그밖의 가족이 죽은 날에 지내는 기제 때에는 예복을 입어도 소박하고 깨끗한 일상옷차림에 흰 두루마기와 같은 제복이나 머리쓰개를 썼다. 어떤 가정에서는 두루마기 위에 도포를 입기도 하고 머리에는 갓 또는 유건을 쓰기도 하였다.

여자들은 죽은 후 5년까지는 흰옷 차림인 소복(素服) 단장을 하고 흰 족두리를 썼고 5년이 지난 다음부터는 옥색 치마, 저고리에 흰 족두리를 썼다. 그리고 퍽 오래 전에 죽은 사람을 제사지낼 때에는 소복 단장을 하거나 깨끗하고 검소한 옷차림을 하였고 머리쓰개는 쓰지 않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어떤 경우에도 무늬있는 치마, 저고리는 입지 않았다. 이것은 옷차림을 깨끗하고 정중히 함으로써 죽은 사람에 대한 예의를 갖추려는 우리 민족의 고상한 도적적 미풍의 발현이기도 하였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 옷차림풍습의 역사개관
    - 일상옷차림
    - 예복차림
    - 관복차림
    - 무대옷차림
    - 옷감의 색깔 및 무늬
    - 옷짓기와 옷보관 관습
    - 옷차림의 특징과 예절
    - 옷차림의 계승발전
    - 침구관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