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옷차림풍습 > 예복차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어린이예복
첫돌옷
3.7날옷과 백날옷
관례옷
남자 관례옷
녀자 계례옷
혼례옷
남자 혼례옷
녀자 혼례옷
환갑옷
상제례옷
수의
상례옷
제례옷
명절옷
설명절옷
단오명절옷
북한지역정보넷 설명절옷
설명절옷은 설날에 입는 옷을 말하는데 설빔 또는 세장이라고도 하였다. 이것은 음력 정월 초하루를 한 해의 첫날이라는 뜻으로 ‘설날’ 또는 ‘세수’라고 하였던 것과 관련하여 붙은 이름이었다. 설명절옷은 설맞이에서 특별한 의의를 가졌다. 설날은 다른 명절과는 달리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첫날로서 사람마다 새로운 기분과 희망을 가지고 맞곤 하였다. 이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벌써 음력으로 섣달 그믐께부터는 설맞이 준비로 흥성거렸는데 그 하나가 새옷(설빔, 세장)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설명절에 설빔을 입는 풍습은 매우 오래 전부터 있었다. 『삼국사기』에 “(설날 백제)왕이 자주색 대수포(큰 소매가 달린 자주색 겉옷)에 푸른색 비단바지를 입고 금꽃으로 장식한 오라관에 흰 가죽띠, 검은 가죽신 등의 화려한 옷차림으로 남당에 앉아서 정사를 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자료는 삼국시대에 이미 옷을 화려하게 차려 입고 설을 쇠는 풍습이 있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풍습은 이때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이전 시기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설명절옷과 관련한 풍습은 삼국 이후에도 면면히 계승되었다.

조선 말기의 설맞이 옷차림과 관련한 풍습을 보면 매 가정들에서는 설날 아침 모두 일찍 일어나 깨끗이 세수를 하고 이미 준비하였던 새옷을 갈아입었다. 설날옷은 새로 지어 입기도 하고 그런 형편이 못되면 입던 옷이라도 깨끗이 손질하여 갈아입었다. 특히 어린이들의 옷차림에 먼저 관심을 가져 아이들부터 고운 명절옷차림을 하게 하였다. 사내아이의 설빔은 속옷, 저고리, 바지, 마고자, 두루마기, 전복, 복건, 버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짓수가 많아서 다 해입히기 곤란하면 그 가운데서 어느 한두 가지를 빼놓고 입히기도 하였다. 실례로 기본옷인 저고리와 바지를 입힌 다음에 마고자를 입히지 않고 두루마기, 전복을 입히거나 마고자만 입혔다. 사내애들의 가장 일반적인 설명절 옷차림새는 색동저고리, 풍차바지에 까치두루마기를 입히는 것이었다. 경우에 따라 그 위에 다시 전복을 입히고 복건을 머리에 씌웠으며 허리에는 술이 달린 복주머니를 채우고 타래버선을 신겼다.

여자애의 설빔은 속옷, 저고리, 치마, 배자, 두루마기, 버선 등으로 되어 있었다. 저고리는 보통 색동저고리였는데 깃과 고름, 끝동에 금박장식을 하여 화려하게 보였다. 설날 여자애들의 기본 차림새는 색동저고리에 다홍치마였다. 혹은 비단으로 지은 고운 연두색 저고리나 황색 저고리에 다홍치마를 받쳐입히기도 하였다. 그리고 머리에는 제비부리댕기를, 저고리고름에는 노리개를 달아주고 머리에는 조바위를 씌워 주었으며 치렛거리로는 염낭과 노리개를 달아 주었다. 매해 설날이 되면 어린이들은 이렇듯 고운 옷차림을 하고 부모와 이웃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렸으며 한 살을 더 먹는 기쁨을 안고 재미나는 놀이도 하면서 명절을 즐겁게 보내었다. 설날에는 어른들도 갖가지 명절옷을 차려 입고 명절을 쇠었다.

남자들의 설빔은 저고리, 바지에 마고자나 두루마기를 덧입는 것이었는데 젊은이들은 옥색 바지에 흰 저고리 또는 재색 바지에 옥색 저고리, 마고자를 입었다. 두루마기는 방안에서도 손님맞이할 때에 예의를 갖추기 위하여 입었으며 외출할 때에는 경우에 따라 두루마기 위에 도포까지 입었다. 나이많은 사람들은 재색 바지를 어울리게 입었으며 농촌에서는 흰 바지도 많이 입었다.

부녀자들의 설빔으로는 저고리, 치마, 두루마기를 들 수 있다. 젊은 여자들은 색동저고리나 연두색 저고리, 노란색 저고리 혹은 흰 저고리를 겹으로 지어 입고 밑에는 다홍치마를 받쳐입었으며 40~50대의 중년부인들은 남색 치마나 자주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나 분홍색 저고리를 겹으로 지어 받쳐입었다. 노인의 경우에는 남색 치마나 재색 치마, 자주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나 연분홍 저고리, 미색 저고리 등을 겹으로 하여 받쳐입는 것이 보통이었다. 두루마기는 여자들도 외출할 때에 입었다. 여자들의 명절옷으로서 특히 삼회장저고리와 반회장저고리가 매력있는 것으로 이채를 띠었다.

이와 같이 설명절옷은 겨울철의 계절적 특성에 어울리게 남녀별, 나이 등에 따라 옷감과 색깔, 짓는 방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모두 전통적인 민족옷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는 같았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 옷차림풍습의 역사개관
    - 일상옷차림
    - 예복차림
    - 관복차림
    - 무대옷차림
    - 옷감의 색깔 및 무늬
    - 옷짓기와 옷보관 관습
    - 옷차림의 특징과 예절
    - 옷차림의 계승발전
    - 침구관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