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식풍습 > 민족음식과 식생활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주식물의 종류
부식물의 종류
조미료의 종류
당과.음료 종류
일상음식
특별음식
지방음식 개요
평양과 평안도 음식
함경도 음식
황해도 음식
강원도 음식
개성. 서울. 경기도 음식
궁중음식의 개요
궁중음식의 주식물
궁중음식의 부식물
궁중음식의 당과
궁중음식의 음료
조선민족음식의 특성
북한지역정보넷 만두
만두는 떡, 지짐과 마찬가지로 우리 민족들이 즐겨 먹어 온 음식의 하나이다. 만두는 곡식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얇게 밀어서 소를 넣고 송편모양으로 빚어 끓는 물에 익힌 음식이다. 만두는 기록상으로는 고려시대에 처음 보이는데 조선시대에 이르러 그 조리법이 더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만두는 고려시대에 주로 밀가루, 메밀가루로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옥수수가루로도 만들었다. 그리고 만두소로는 고기, 물고기, 채소, 숙주나물, 두부 등을 양념하여 썼다.

메밀가루만두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음식지미방』 등에 구체적으로 쓰여 있다. 그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밀가루를 끓는 물에 반죽한다. 만두소로는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꿩고기를 썼는데 미나리, 숙주나물, 무는 데치고 배추김치, 고기는 다진다. 채소와 두부에는 생강, 마늘, 고춧가루, 깨소금, 기름을 넣어 간을 맞추어 버무린다. 가루반죽을 얇게 밀고 속에 잣을 두어 알씩 넣고 빚어 고기장국이 끓을 때 넣는다. 만두가 익어서 동동 뜨면 건져내어 후춧가루를 뿌린다. 그리고 초간장에 고춧가루를 두어 함께 냈다.

밀가루만두는 밀가루반죽을 얇게 밀어서 만두소를 넣고 네 귀가 잡히도록 빚어 삶아 낸 것이다. 『동국세시기』에는 이렇게 만든 만두를 변씨만두라고 하고 『규합총서』에서는 편수라고 하였다. 후추의 맵싸한 향기를 돋우는 소를 넣어 만든 편수는 맑고 차거운 장국물에 띄워 먹었기 때문에 무더운 여름철에 사람들의 입맛을 한껏 돋우어주었다.

물고기만두는 껍질을 벗겨 얇게 저민 생선과 다져 재운 쇠고기, 양념에 무친 미나리, 숙주나물을 섞어 버무린 소를 얇게 민 밀가루반죽에 넣어 송편모양으로 빚은 것을 끓는 장국물에 삶아 건져내어 만든 것이다. 물고기만두는 초간장에 고춧가루를 두어 먹었다.

수교위는 가루반죽을 같은 두께로 얇게 민 속에 오이를 채쳐서 살짝 절인 것, 쇠고기 다진 것, 버섯과 고추를 채친 것, 달걀을 지져서 썬 것을 양념하여 볶은 소를 넣어 송편모양으로 빚은 것을 감잎을 깔고 찐 것이다. 수교위는 기름을 많이 발라 초장에 찍어 먹었다.

이처럼 만두에는 곡식가루와 함께 채소, 고기, 두부 등 갖가지 부재료들이 들어갔기 때문에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을 뿐 아니라 보기에도 맵시있게 만든 특색있는 음식이다. “보기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우리나라의 속담 그대로 만두 역시 모양도 곱고 맛 또한 훌륭하였다. 그러므로 만두는 과거에 명절이나 대사 때는 물론 손님을 대접하는 데 빼놓지 않고 쓰였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 식풍습의역사 개요
    - 민족음식과 식생활
    - 식생활도구와 이용풍습
    - 상차림풍습
    - 식생활관습과 식사예절
    - 식생활풍습의 계승발전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