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지방 사람들은 바다와 산을 낀 자연환경을 옳게 이용하면서 의식주생활을 개척해 왔다. 강원도 지방 음식은 동해바닷가 고기와 산간지대에서 생산되는 낟알, 산나물로 만든 음식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세계적 명산인 금강산을 비롯한 산지대에서는 잣, 꿀, 산삼 등 특산물이 많았다. 옛기록들과 현지조사자료에 의하면 강원도 지방의 특색있는 음식은 50여 종에 달하였다. 강원도에서는 감자, 옥수수, 메밀, 조, 차조 등이 잘되었으므로 주민들의 주식도 감자밥, 옥수수밥, 조밥, 찰수수밥 등 잡곡밥이 기본을 이루었다.
떡으로는 총떡, 감자송편, 차조인절미(조찰떡), 기장취떡, 댑싸리떡, 옥수수설기떡 등이 있었다. 총떡은 메밀가루를 반죽하여 번철에 전병같이 부치고 거기에 꿩고기나 닭고기, 표고, 돌버섯, 오이 등을 가늘게 채쳐서 볶은 것을 넣고 둘둘 말아서 초장에 찍어 먹는 음식이다. 총떡은 춘천지방의 이름난 음식이었다.
감자송편은 감자를 갈아서 만든 떡반죽에다 강낭콩소를 넣고 빚어서 찐 떡이다. 강원도 송편은 비록 감자로 만들었지만 이 지방의 감자가 앙금이 많이 나고 질적거리지 않으며 맛이 유별하여 다른 지방의 흰쌀송편과 같이 특식으로 일러주었다. 강원도의 감자송편은 그 형태에서도 특징이 있었다. 황해도의 송편은 손바닥만하고 서울송편은 밤톨 크기로 통통한 데 비하여 강원도의 송편은 손으로 꽉 쥐였다 놓은 모양과 비슷하였다. 기장취떡은 기장쌀에 참취를 섞고 쳐서 만든 떡인데 주로 5월 단오명절음식으로 일러주었다.
차조인절미는 차조를 시루에 쪄서 떡판에 놓고 쳐서 만든 떡인데 평야지대의 흰찹쌀인절미와 맞먹는다. 이 떡은 추석이나 설명절 때 만드는데 팥고물을 묻히거나 엿물에 찍어 먹었다.
옥수수설기는 옥수수가루를 시루에 쪄서 만든 떡이다. 흰쌀가루설기와 같이 가루를 시루에 앉히면서 팥고물을 펴 놓기도 하였다.
감자경단은 하지가 지나 감자가 흔할 때 농가에서 간식으로 해먹던 음식이다. 감자경단은 통채로 찐 감자의 껍질을 벗겨서 뜨거울 때 절구에 찧거나 방망이로 으깬 다음 밤톨 크기로 둥글둥글하게 빚어 강낭콩고물이나 팥고물을 묻힌 것이다.
감자수제비와 옥수수범벅도 강원도 지방에서 많이 만들어 먹은 음식이었다. 감자수제비는 감자녹말가루를 익반죽하여 장국에 뜯어 넣어 익혔으며 옥수수범벅은 옥수수가루에 호박, 콩, 팥, 감자, 나물 같은 것을 섞어서 만들었다. 감자수제비나 옥수수범벅은 주로 산간지대 주민들이 식량 대용으로 만들어 먹었다. 『음식보』에 의하면 강원도의 범벅에는 옥수수범벅 이외에 감자밤벅, 호박범벅도 있었다. 강원도 국수에서 특색있는 것은 막국수였다. 막국수는 메밀가루로 국수를 뽑아 김칫국에 만 다음 김치나 무를 얹고 고추양념을 따로 곁들어 먹는 음식이다.
팥국수는 팥물에 밀국수를 넣어 끓인 색다른 칼국수이다. 끓은 팥물을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썰어 놓은 칼국수를 넣고 휘휘 저으면서 국수가 떠오를 때까지 끓여낸다.
묵에서는 녹두묵, 도토리묵, 죽에서는 금강잣죽이 이름났다. 녹두묵은 녹두를 맷돌에 타서 물에 담가 껍질은 건져내고 속알만을 갈아 그 앙금으로 만들었다. 묵은 다른 알곡을 가지고도 만드는데 녹두묵이 특별히 맛이 좋았다. 강원도에서는 산에 흔한 도토리로 묵을 많이 만들어 먹었다. 도토리묵은 옛기록에 상실포라고 표기되어 있다. 『옹희잡지』에 의하면 도토리를 가루내어 청포처럼 묵을 만드는데 색은 자줏빛이고 그 맛은 담담하지만 능히 배고픔을 달랠 수 있다고 하였다. 산간지대 주민들은 도토리묵을 동치밋국과 함께 별맛으로 먹었다.
금강잣죽은 쌀에 잣을 섞어 쑤었는데 금강산을 끼고 있는 금강, 고성 지방의 것을 특별히 일러주었다. 이밖에 생선국과 인삼닭곰이 유명하였다. 생선국은 주로 간장국에 끓였는데 파와 고춧가루를 양념으로 썼다. 이 지방 주민들은 여름에는 고등어, 겨울에는 가자미, 도미, 명태로 끓인 국을 좋아하였다. 인삼닭곰은 닭의 내장을 꺼내고 그 속에 찹쌀, 꿀, 인삼을 함께 넣고 푹 고은 곰국인데 허약한 사람들의 보신을 위하여 많이 만들어 먹었다.
바닷물고기반찬에는 해파리해삼냉채, 도루묵식해, 명란식해, 명태포식해 등이 특색있었다. 『고성군읍지』에 의하면 해삼은 고송지방의 특산인데 매해 공물로 바쳐야하는 품종의 하나였다. 해파리해삼냉채는 해파리를 가늘게 채치고 해삼은 약간 데쳐서 얇게 저며 초고추장에 무친 것인데 동해바닷가 사람들이 술안주로 많이 이용하였다. 도루묵식해는 통천, 도성 일대의 것이 유명하였다.
북어, 편포도 강원도에서 손꼽히는 음식이었다. 북어는 명태의 밸을 따서 바싹 말린 것이며 편포는 낙지를 말린 것이다. 강원도주민들은 일찍부터 물고기를 말리는 가공법을 발전시켰다. 북어편포뿐 아니라 말린 연어, 대구, 문어, 고등어로 만든 음식도 강원도의 특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외국에 수출까지 하였다. 특히 문어는 고성의 명물인데 영진의 것이 유명하였다.
이밖에 오징어젓, 조기젓, 창난젓, 명란젓 등 젓갈음식도 많이 만들어 먹었다. 오징어는 그 모양이 낙지와 비슷한데 낙지는 발이 8개이고 오징어는 10개이다. 오징어로는 순대와 젓을 만들었다.
바다와 멀리 떨어진 산골에서는 민물고기인 열목어로 만든 음식을 일러주었다. 열목어는 찬물을 좋아하는 민물고기로서 칠색송어에 못지 않게 맛이 좋은 물고기이다. 큰 것은 8kg이나 되었다. 산골에서는 이 고기로 국을 끓이기도 하고 쪄먹기도 하였다.
산나물로 만든 음식은 강원도의 특식이었다. 강원도에는 도라지, 고사리, 두릅, 참나물, 오미자, 참취, 곰취가 많이 자랐다. 고사리나물은 고사리를 데쳐서 우려내고 기름을 두고 볶은 것인데 고사리볶음이라고도 하였다. 고사리는 봄철에 뜯어 말려두고 반찬으로 하지만 대사용 음식으로도 많이 쓰였다. 이 지방 사람들도 고사리나물을 잔칫상이나 제사상에 놓는 것을 오랜 풍습으로 지켜 왔다.
두릅은 김치를 담그거나 데쳐서 무쳐 먹기도 하였다. 참취의 어린 잎은 데쳐서 우려 먹었는데 미덕취, 나물취라고도 하였다. 참취튀김은 참취에 찹쌀풀을 발라 기름에 튀긴 것인데 찹쌀가루 대신 밀가루를 발라 튀김기도 하였다. 참취튀김은 5월 단오음식으로 일러왔다. 곰취는 봄에 어린 잎으로 날 것대로 쌈을 싸먹기도 하고 데쳐서 무쳐 먹기도 하였다. 곰취나물은 주로 4월에 많이 먹었다. 곰취 가운데서도 금강산의 광명곰취가 가장 유명하였다. 취는 약재로도 많이 쓰였다.
당과로서는 강원도의 특산인 잣과 꿀로 만든 단 음식이 으뜸으로 꼽혔다. 잣은 향기롭고 맛이 좋아 신선이 먹는 음식이라고 하였고 꿀은 ‘백화지정(백가지 꽃의 정기)’이라하여 만병통치약으로 일러왔다. 『지봉유설』에 의하면 잣(해송자)은 내금강 회양의 것이 명물이었으며 단 음식의 주원료인 꿀은 옛날부터 강원도에서 많이 생산되었다. 16세기 기록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당시 강원도 지방에 속해 있던 22개 군이 꿀의 특산지로 적혀 있다.
잣으로는 박산(산자), 단자, 편, 엿, 강정 등 단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잣박산은 『해동죽지』에 의하면 금강산의 특산이었다. 잣박산은 잣산자라고도 하는데 찹쌀가루를 물에 반죽하여 넓적하면서도 길쭉하게 빚어서 기름에 지진 다음 엿 혹은 꿀을 바르고 그 위에 잣을 묻힌 과자이다.
단자, 강정, 편, 엿 등은 지방에 따라 겉면에 묻히는 고물(콩가루, 잣가루, 깻가루, 팥가루 등)이 각이한데 강원도에서는 주로 잣가루를 묻혔다. 따라서 이름도 잣단자, 잣강정, 잣편, 잣엿이라고 불렀다. 잣편은 꿀이나 엿을 함께 끓이다가 잣을 넣고 엉킬만할 때 반반한 그릇에 담아 굳힌 것이며 잣엿은 잣을 섞어서 만든 단엿이다.
과일로서는 정선, 김화의 씨 없는 배가 유명하였다. 이 배는 껍질이 얇고 살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음료로서는 오미자로 만든 오미자장이 있었다. 15세기말 성현이 쓴 『동행기』에 고성군사람들이 오미자장을 만들어 여러 개의 단지에 담아둔 것을 길손들이 먹어 보았다는 것을 전하고 있다. 이것은 오랜 옛날부터 오미자장이 이곳 특산음료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밖에 강원도의 대열매술도 소문났다. 대열매는 사탕수수와 같이 맛이 달다. 따라서 대열매로 만든 술은 달면서도 산뜻하였다.
강원도 지방의 음식에는 감자, 옥수수, 메밀 등과 산나물로 만든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감자로 만든 음식종류가 많았다. 이것은 강원도의 자연경제적 조건과 많이 관련되어 있었다. 강원도 지방은 다른 도에 비하여 자연경제적 조건이 불리하여 알곡생산이 높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벼보다도 감자, 옥수수, 메밀, 도토리로 만든 음식과 산나물음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조리법은 비교적 간단하여 천연의 맛과 향기를 살려서 만드는 것이 특징이었다.
강원도 지방 음식에는 또한 물고기로 만든 생회가 많고 북어, 편포 등 말려 먹는 음식과 젓갈류가 발전하였다. 이로부터 강원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물고기와 젓갈 음식을 좋아하였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