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Link
나의스크랩
테마체험관
멀티미디어관
5대명산
천연기념물
북한의민요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 조선향토대백과 소개 > 조선향토대백과의 내용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기본적특징 내용상특징
조선향토대백과
 
내용상특징(10대 특징)
1
남한에 알려진 북한의 지도는 1997년 판이었으나 『대백과』의 지도는 2004년도 판을 기준으로 제작됨으로써 최신판 북한지도가 처음으로 외부세계에 공개되었다.
2
북한 지하자원의 분포와 매장된 자원의 위치가 상세히 파악됨으로써 지하자원의 공동개발 등 남북경제협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3
북한의 주요 교통과 노선 등이 지역 단위별로 상세히 소개돼 있어 북한여행의 가이드북 역할과 함께 남북간 통행·운송에 길잡이가 됨은 물론 군사적 및 산업지리로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4
북한에 서식하는 희귀동식물과 천연기념물 등이 총정리 돼있어 북한의 생태계 조사연구에 큰 도움을 주게 되었다.
5
60여 차례의 행정개편에 따라 생긴 지명들이 자세히 소개돼있고 특히 20인 이상이 거주하는 마을이름까지 기술되어 있어 북한의 지역상황을 미시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6
유물유적의 경우, 그동안 한국에 알려진 북한의 유물유적들은 자료들마다 차이가 있고, 누락된 것들이 많았으나 『대백과』에는 국보급과 준국보, 그리고 보존급 문화유적이 총정리되어 있어 민족문화유산의 보존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보존급 중에는 그 모습이 최초로 공개되는 게 많이 있다.
7
북한의 유명한 명승지와 미개발 자연관광 자원이 망라되어 있어, 남북관광교류에 대비한 주요 자료로서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8
전통적으로 전해져온 지방별 민속과 음식 등이 소개되어 있으며 특히 유명한 음식의 요리방법까지 예시돼있어 전통음식 연구·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9
북한전역에 걸쳐 조사된 민요가 전무한 상태에서 이번 『대백과』에서는 북한의 지역별 민요가사를 전부 수록함으로써, 민족문화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10
남한에 소개된 북한인물들은 정치·군사·경제분야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대백과』에서는 사회·문화·예술·체육분야 인물들을 자세히 수록하고 있어 남북한 사회문화 교류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북한지역정보넷소개
북한정보넷 일러두기
조선향토대백과 소개
    - 발간사
    - 편찬사
    - 편찬목적 및 의의
    - 편찬배경 및 경위
    - 조선향토대백과의 구성
    - 조선향토대백과의 내용
    - 기본적 특징
    - 내용상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