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민속문화관 > 주택생활풍습 > 주택의 이용과 갖춤새
|
|
|
|
|
|
|
|
|
|
|
|
|
|
|
광과 헛간
|
|
|
|
광은 여러 가지 세간이나 그밖의 물건을 보관하는 칸이다. 광은 고구려시기에 이미 부경(?京)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유래가 오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은 지방에 따라 그 이름이 달리 불리웠다. 광을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에서는 ‘고방’, 경상도 일대에서는 ‘도장방’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다 물건들을 보관하는 방이라는 말이다.
광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시렁 또는 선반이 설치되는데 밑에 설치된 시렁 위에는 쌀독 같은 것을 올려놓고 그위에 설치된 선반에는 광주리와 동이 같은 작고 가벼운 생활도구들을 올려놓았다. 또 광에는 여러 가지 음식물들도 보관하였으며 특히 명절 또는 대사가 있어 많은 음식물들을 만들었을 때에는 그것을 광주리나 함지에 담아서 선반에 보관하기도 하였다. 특이한 예이지만 강원도에서는 김장독을 광에 보관하는 경우도 있었다.
개성일대의 주택에는 두 가지 종류의 광이 있었는데 하나는 부엌광이었고 다른 하나는 헛광이었다. 부엌광은 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데 이용되었고 헛광은 쌀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었다. 광은 대체로 부엌과 가까운곳에 배치하고 이용하였다. 양통집에서는 부엌에 연이어 광이 배치되어있고 쌍채집이나 꺾음집인 경우에는 부엌에서 가장 가까운 방을 광으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광은 그 이용풍습에서 부엌과 밀접히 연결되어있었다. 그러나 양반지주들을 비롯한 부유한 집들에서는 부엌과 관련이 없는 여러 개의 광들이 있었다. 이 광물은 농민들이 땀흘려 지은 곡식을 소작료로 받아들여 보관하여두었다가 춘궁기에 장리쌀놓이를 하여 백성들을 착취하는데 이용되었다.
헛간(허청간)은 연장이나 멍석을 비롯한 농경도구들과 절구, 삼태기 등 일상적으로 쓰이는 생활도구들을 보관하는데 이용되었다. 서북부 평야지대에서는 헛간을 땔감을 보관하는 곳으로도 이용하였다. 헛간은 몸채안에 배치하지 않고 독립적인 부속건물로 짓거나 앞채의 어느 한칸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헛간에는 안뜰쪽으로 벽체가 없고 문을 달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것이 광의 형식과 다른 점이었다. 광은 도시나 농촌 주택을 막론하고 모든 주택들에 다 있었다면 헛간은 대체로 농촌주택에만 있는 시설이었다. 광과 헛간은 다같이 경리활동에서 없어서는 안될 주택의 기본요소였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