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짧은 겉옷에는 큰저고리, 갖저고리, 배자(등거리) 등이 있었다. 큰저고리는 저고리 위에 덧입는 겉옷으로서 평상시에 입었던 저고리와 형태가 기본적으로 같았으나 품이 크고 맞깃, 맞섶으로 된 점이 달랐다. 큰저고리의 깃은 둥근형으로서 좌우 깃이 서로 대칭되어 있다. 깃에는 동정이 달려 있으나 고름은 없다. 큰저고리는 삼국시대의 긴 저고리가 점차 덧저고리로 변화되면서 생긴 옷으로 추측된다. 기록상으로는 큰저고리에 대하여 특별히 지적된 것이 없으나 유물로는 조선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큰저고리가 있다. 큰저고리는 보통 겹으로 만들고 주로 도시들에서 젊은 여자들과 중년 부인들이 봄, 가을에 저고리 위에 덧입었다. 큰저고리를 입은 다음 앞섶을 단추로 고정시키기도 하였지만 흔히 열어 놓은 채로 두는 것이 관례였다. 과거에 남자들은 저고리 위에 간편하게 마고자를 입었으나 여자들은 마고자 대신 큰저고리를 입는 것이 풍습으로 되어 있었다.
갖저고리는 보통저고리보다 길이와 품이 좀 크고 안에 털가죽을 댄 옷이다. 우리나라에서 여자들이 갖저고리를 만들어 입는 풍습은 매우 오래였다. 그것은 이미 남자 겉옷 부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고대 부여 사람들이 짐승가죽으로 지은 ‘구(?)’라는 덧옷을 입었는데 이러한 덧옷은 그후 시대적 미감에 맞게 변화 발전되면서 조선시대의 갖저고리에 이르렀을 것이다.
갖저고리는 고려시대까지 얼마 보급되지 않았으나 조선 초기에 들어와 점차 보급되어 17세기에 이르러서는 갖저고리를 입는 풍습이 더욱더 널리 퍼졌다. 그리하여 조선시대는 갖저고리를 입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까지 취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금지 조치도 오랫동안 계승되어 여성들의 겉옷으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고 그 합리성과 생활력이 널리 인정된 갖저고리를 없앨 수 없었다. 당시 갖저고리는 검은돈의 가죽(잘)과 양, 사슴, 고양이, 개 등 짐승의 가죽만으로 만든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순수 가죽으로 만든 저고리 대신 천으로 지은 저고리 안에 털가죽을 대고 저고리의 가장자리에 털가죽 선을 댄 보기 좋은 갖저고리가 널리 퍼졌다. 갖저고리의 털가죽 선은 보기에도 좋고 옷의 고유한 특색을 잘 살릴 뿐 아니라 그 질에 따라 갖저고리의 가치가 평가되기도 하였다. 겨울에 추위가 심하였던 평안도 지방에서는 중년 이상의 여성들이 갖저고리를 널리 입었는데 그들이 즐겨 입던 갖저고리는 겉을 재색이나 연한 갈색 비단으로 하고 안에는 양털 같은 보드라운 털가죽을 받쳤으며 옷의 가장자리에는 수달피와 같은 고운 털을 보기 좋게 댄 고급인 것도 있었다.
중부이남 지방에도 갖저고리를 입는 풍습이 있었으나 겨울추위가 덜하였던 탓으로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으며 갖저고리 소매에 털가죽을 대는 경우도 적었다. 갖저고리는 추위를 막기 위한 겨울철 겉옷이었기 때문에 흔히 젊은 여성들보다 추위를 잘 타는 중년 이상의 노인들이 많이 입었다.
배자의 형태는 맞깃, 맞섶으로 되고 동정이 있는 점에서 큰저고리와 같았으나 소매가 없는 것이 차이났다. 그러므로 큰저고리에서 소매를 떼면 배자와 같은 옷으로 되었다. 그러니 배자는 조끼 비슷하게 생기고 주머니가 없는 겉옷이었다. 배자를 보통 반배자, 등거리라고도 불렀다. 현재 유물로 전해오는 배자는 저고리만한 짧은 겉옷인데 이것을 반배자라고 부른 것으로 보아 한때 긴 배자가 있어서 그것과 구별하기 위해 짧은 배자를 반배자라고 불렀으리라 보여진다. 배자의 유래에 대해서는 잘 알 수 없으나 『삼국사기』에 ‘배당’과 ‘반배’ 등 등거리 계통의 겉옷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러한 옷으로부터 유래된 것 같다.
16세기의 기록인 『가례고증』에 의하면 배자는 본래 비첩(천한 신분의 첩)의 옷이었는데 그것이 부녀자들의 등거리로 널리 이용되게 되면서 이름을 배자라고 하였으며 후세에 오면서 그 풍습도 계승되어 배자는 남녀귀천을 가리지 않고 입는 옷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배자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입던 옷으로서 처음에는 노동하는 여성들이 널리 입었는데 간편한 겉옷이었으므로 그것이 점차 부유한 계층의 부녀자들 속에도 보급되었으며 남녀가 다 입는 옷으로 되었다고 짐작된다.
배자는 저고리 위에 입는 짧은 겉옷이었기 때문에 그 길이는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점차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평안남도 성천군 장림리 무덤에서 나온 17~18세기의 배자가 조선 말기의 것보다 길이가 좀더 길었던 것은 그와 같은 변화과정을 보여 준다. 배자도 계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만들어졌다. 봄, 가을에는 얇고 성글게 짠 ‘사’ 종류의 비단이나 모시 등을 사용하여 겹으로 하였고 이른봄이나 늦가을의 것은 두터운 비단을 겉감으로, 무명을 안감으로 사용하여 겹으로 하였다. 추운 겨울에는 안에 털가죽을 대어 추위를 잘 막을 수 있게 만들었으며 옷의 가장자리에 고급스런 털로 선을 달아 보기 좋게 하였다. 털을 댄 배자를 털배자(털등거리)라고도 하였으며 그 털이 좋고 나쁜 것에 따라 배자의 가치가 평가되었다.
배자의 색깔은 대체로 남색이 많았으며 그밖에 자주색이나 다른 짙은 색깔도 있었다. 털배자는 기후가 찬 북부지방, 특히 평안도 지방에서 중년 이상의 여성들이 겨울과 이른봄, 늦은 가을에 많이 입었다. 이 지방에서는 털배자를 새색시의 혼례옷으로 이용하는 풍습도 있었다. 특히 남색의 털배자는 보기 좋고 지방적 특색이 진하게 풍기는 옷으로서 새색시의 예복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