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옷차림풍습 > 일상옷차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남자의 일상 옷차림
웃옷
아래옷
겉옷
머리꾸밈새와 쓰개
버선과 신발
행전과 토수
치레거리
여자의 일상옷차림
달린옷
겉옷
치레거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주제선택 북한지역정보넷
* 조회 할 분류명을 선택 하십시오.


북한지역정보넷 머리치렛거리
머리치렛거리에는 비녀, 뒤꽂이, 댕기, 귀걸이 등이 있다. 비녀는 본래 여자의 긴 머리를 틀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도구로 생겨난 것이지만 점차 장식적인 역할도 겸하게 되면서 여러 가지로 곱게 만들어지고 여성들의 옷차림에서 주요한 치렛거리의 하나로 되었다. 고고학적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고대에 여자들이 비녀를 이용하였다. 고조선의 유물로서 청동과 뼈 등으로 만든 비녀가 적지 않게 발굴된 사실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다.

고조선 사람들이 사용한 청동비녀나 뼈비녀는 끝이 뾰족하고 뒷부분은 둥글다. 청동비녀의 길이는 19cm, 뼈비녀의 길이는 15cm 정도이다. 특히 청동으로 만든 비녀는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졌다. 이것을 통하여 그 당시에 비녀가 이미 실용적으로만 아니라 장식적인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었으며 뼈와 청동뿐 아니라 그밖에 굳은 나무나 옥돌 같은 재료로도 비녀를 만들었으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녀는 고대 이후에도 여자들의 장신구로 널리 이용되었다. 그것은 고조선의 후예들이 살던 여러 지역의 유적들에서 청동비녀가 적지 않게 나온 데서 확인할 수 있다.

삼국시대에는 비녀의 장식적인 의의가 더 강조되어 통치자들은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비녀를 만들어 그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에 사용하였다. 발굴된 유물들에 의하면 삼국시대의 비녀에는 외가닥으로 된 것과 두 가닥, 세 가닥으로 된 것이 있는데 특히 두 가닥으로 된 것이 적지 않다. 외가닥 비녀는 주로 긴 머리를 틀어 올려 고정시키는 데 썼고 두세 가닥 비녀는 머리를 여러 가지 형식으로 꾸미거나 순수 장식용으로 단장할 때 쓰던 것이었다. 특히 백제의 무녕왕릉에서 나온 금비녀는 왕비의 것이라 짐작되는데 비녀머리는 살구나뭇잎 모양으로 곱게 생겼고 거기에 넝쿨무늬, 구슬무늬 등을 돋을새김법으로 조화롭게 장식하였다.

통일신라에서도 비녀를 금, 은, 옥 등 값진 물건으로 만들어 거기에 여러 가지 모양의 조각장식과 구슬장식 등을 함으로써 치렛거리로서의 효과를 더 두드러지게 하였다. 고려시대에도 다양한 비녀가 만들어졌으며 여자들의 머리치렛거리로 널리 이용되었다. 그리하여 고려에 온 다른 나라 사신들도 고려에서는 “부인의 머리는 귀천에 관계없이 같으며 머리채를 오른쪽 어깨로 넘겨 아래로 내리드리웠는데 붉은 나로 묶고 작은 비녀를 꽂았다”고 하면서 비녀에 대하여 잊지 않고 강조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에 와서도 비녀는 여자들의 몸치장에 없어서는 안될 치렛거리였다. 특히 이 시기에 비녀를 꽂게 되어 있는 쪽진머리가 널리 유행하면서 비녀는 여러 가지 재료로 더욱 다양하게 만들어졌다.

비녀는 그 주되는 재료에 따라 금비녀, 은비녀, 백동비녀, 놋비녀, 진주비녀, 옥비녀, 비취비녀, 산호비녀, 나무비녀, 뼈비녀, 왕대비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비녀의 머리장식에 따라 봉잠(봉황을 형상한 비녀), 용잠(용을 형상한 비녀), 매죽잠(매화와 참대를 형상한 비녀), 대잠(왕대를 형상한 비녀), 매조잠(매화와 새를 형상한 비녀), 죽절잠(왕대마디를 형상한 비녀), 연봉잠(연꽃봉오리를 형상한 비녀), 목잠(모란꽃을 형상한 비녀), 석류잠, 창포잠, 국화잠, 호두잠, 완두잠, 화엽잠(각종 꽃잎을 형상한 비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비녀의 크기에 따라 큰 비녀와 작은 비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큰 비녀는 왕족들과 궁녀들, 양반집 부녀자들 속에서 예복차림을 할 때 사용한 것이었으나 조선 말기에 와서는 일반 여자들 속에서도 혼례옷차림을 할 때 쓰였다.

큰 비녀의 머리에는 예복차림에 어울리게 봉황이나 용 등 환상적 동물들과 매죽, 매조, 죽절, 연봉, 석류, 모란 등 우리 선조들이 사랑하는 동식물들을 형상하였다. 큰 비녀의 대는 대체로 얇은 백동판이나 은판으로 만든 속이 빈 관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큰 비녀라 하더라도 비교적 가벼웠다. 큰 비녀는 예식 때에만 쓰고 평상시에는 비녀함에 정히 보관해 두었다. 작은 비녀는 대체로 일상적인 옷차림을 할 때 사용하였는데 일반 백성들 속에서 이용한 것은 주로 백동, 뼈, 나무 등으로 만든 것이었고 양반들과 부유한 집 부녀자들이 이용한 것은 금, 은, 옥, 산호, 진주 등 값진 것으로 만든 것이었다. 특히 금, 옥, 산호, 진주 등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화려한 비녀들은 혼례 또는 그밖의 예식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작은 비녀 가운데서 검은 뼈로 만들어진 것은 주로 남편이 없는 여자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비녀의 한 종류로서 떨잠이라는 것도 있었는데 떨잠이라는 말은 ‘흔들리는 비녀’라는 뜻이다. 떨잠은 큰머리나 어여머리의 중심 혹은 양쪽에 하나씩 꽂는 치렛거리의 하나였다. 떨잠은 둥글거나 모난 것 혹은 나비모양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생긴 옥판에 진주, 옥, 금 등으로 섬세하게 가공한 장식물을 아름답게 꾸몄다. 이것을 머리에 꽂고 걸음을 옮길 때면 떨잠이 좌우, 앞뒤로 흔들리면서 장식적 효과를 더 잘 나타내었다.
뒤꽂이는 뒷머리에 덧꽂는 치렛거리로서 작은 비녀와 모양이 비슷하였다. 이것은 머리칼을 고정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순수 머리치레용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비녀의 치레적 기능만을 살려낸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뒤꽂이는 비녀에서 갈라져 나온 치렛거리라고 말할 수 있다. 뒤꽂이가 언제부터 여자들의 치렛거리로 이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뒤꽂이가 널리 쓰였다.

조선시대의 뒤꽂이는 대체로 은이나 놋 등으로 만들었으며 머리부분은 비취옥, 산호, 진주 등을 이용하여 봉황, 연봉, 꽃나비, 천도(옛날 하늘나라에서 난다고 한 복숭아) 등 여러 가지 동식물을 형상한 장식품으로 화려하게 꾸몄다. 화려한 떨잠이나 뒤꽂이는 주로 왕족들과 부유한 집 부녀자들만이 이용하였다.

댕기는 긴 머리를 여러 가지 형식으로 한데 묶어 내리드리우는 데 쓰인 끈을 말한다. 고구려고분벽화에 의하면 삼국시대에 이미 우리나라 여성들은 다양한 댕기를 이용하였는데 당시 댕기에는 폭이 좁고 길이가 짧은 것과 폭이 넓고 길이가 비교적 긴 것이 있었다. 폭이 좁고 짧은 댕기는 머리를 여러 가지로 묶는 데 이용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댕기는 약수리고분벽화에 그려진 시녀들과 고국원왕릉 벽화 행렬도에서 춤추는 여인들이 머리를 묶은 붉은 끈 등에서 볼 수 있다. 벽화에서는 댕기가 단순히 붉은색으로만 형상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여러 가지 색깔의 천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폭이 넓고 긴 댕기는 머리치장을 기본 목적으로 한 댕기였다. 감신무덤 벽화에서 시녀가 단 댕기를 보면 머리 뒤로 길게 내리드리웠는데 검은 바탕에 흰 선무늬장식을 하였다. 벽화만으로는 당시의 댕기 전반을 다 알 수 없으나 넓고 긴 댕기의 장식무늬에도 더 다양한 것이 있었을 것이다. 고분벽화에 좁고 짧은 댕기와 넓고 긴 댕기가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삼국시대에 댕기를 다는 데서 서로 다른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여자들이 머리에 댕기를 다는 풍습은 그후 발해 및 통일신라시대에도 계승되었는데 댕기가 더 다양하게 발전하여 다섯 가지 빛깔이 나는 화려한 댕기도 만들어졌으며 그것이 다른 나라에까지 수출될 정도였다. 고려시대에도 댕기는 여자들이 즐겨 다는 치렛거리였다. 『고려도경』에는 “시집을 가지 않은 여자들이 붉은 비단으로 머리를 묶고 나머지 머리칼은 아래로 내렸다”고 씌어 있는데 여기서 처녀머리를 묶은 붉은 비단은 실용적인 목적과 함께 장식적인 의의를 강조한 댕기라는 것이 명백하며 나머지 머리칼을 내리드리우는 풍습은 조선시대에 처녀들이 땋아내린 머리에 붉은 댕기를 단 풍습과 같다. 이렇듯 오랜 세월에 걸쳐 여자들 속에서 이용되어 온 댕기는 직물생산이 이전보다 더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문화수준이 높아졌던 조선시대에 와서 한층 더 다양해졌다.

조선시대의 댕기에는 어린이용과 어른용이 따로 있었다. 예로부터 어린이들을 사랑하고 잘 키우기 위해 애쓰는 것은 우리 민족의 미풍양속의 하나였다. 아무리 어려운 살림이라도 우리 어머니들은 어린 자식들의 몸치장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한 쪼가리의 천이라도 생기면 아껴 두었다가 귀여운 어린애의 댕기를 정성껏 만들어 달아 주었다.

우리 어머니들의 살뜰한 마음씨가 이러하였으므로 조선시대에 이르러 어린이용 댕기만 하여도 일상적으로 머리에 다는 극히 간단한 댕기로부터 도투락댕기나 장폭댕기와 같은 긴 댕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댕기가 만들어졌다. 도투락댕기는 주로 머리카락이 짧은 어린애들에게 단 것이었으며 장폭댕기는 머리카락이 긴 어린이들에게 다는 것이었다. 도투락댕기와 장폭댕기는 긴 사각형의 댕기라는 데서 공통점이 있었으나 도투락댕기는 긴 네모진 댕기를 절반으로 접어 두 폭이 된 것을 나란히 하여 접은 곳이 삼각형으로 된 것이라면 장폭댕기는 접어서 두 폭이 된 것을 그대로 겹쳐 접은 곳이 직각으로 되어 있다는 데 차이가 있다. 이러한 긴 댕기들은 위에 달린 끈으로 어린이들의 뒷머리 밑에 바싹 달아매어 주었다. 도투락댕기나 장폭댕기들은 대체로 검푸른색 비단이나 그밖의 천으로 만들었으며 겉면에 여러 가지 장식물을 붙이기도 하였다.

어린이들이 어느 정도 자라서 머리칼이 길어지면 그것을 땋아 뒤로 내리드리우는데 이때 땋은 머리 끝에 다는 댕기를 제비부리댕기라고 하였다. 처녀들은 대체로 제비부리댕기를 붉은 비단이나 무명으로 만들어 달았다. 그리하여 지난날 풍속에 붉은 댕기라고 하면 의례히 처녀를 가리키는 뜻을 담은 말이 되었다. 제비부리댕기 겉면에는 금박장식을 하거나 옥판, 옥나비, 천보나비 등의 치렛거리를 붙이기도 하였다.

다 자란 처녀들의 댕기로는 앞댕기와 뒷댕기가 있었다. 앞댕기는 앞에 내리드리우는 댕기로서 혼례옷차림이나 그밖의 예복차림을 할 때 큰 비녀에 감아 양어깨 위를 거쳐 앞에 내리드리웠다. 뒷댕기에는 일상옷차림 때에 다는 것과 예복차림에 다는 것이 있었다. 일상옷차림 때에 단 뒷댕기는 활동에 편리하게 길이가 짧고 폭도 좁았는데 주로 붉은 천이나 자주색 천으로 만들어 얹은 머리와 쪽진머리 끝에 드려서 겉으로 약간 보이게 하였다. 이런 댕기에도 여러 가지 겉치장을 하거나 금박으로 글자나 무늬를 찍어 장식하기도 하였다. 예복차림 때에 다는 뒷댕기는 일상적으로 다는 것보다 더 길었으며 질도 고급스러운 것으로 만들었다.

귀걸이는 엄밀한 의미에서 볼 때 머리장식용의 치렛거리가 아니지만 머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귀를 장식하는 데 이용되엇으므로 편의상 머리장식에 포함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 여성들이 귀걸이를 몸치장에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원시시대부터였다. 원시시대의 여성들은 짐승의 뼈나 굽은 구슬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재료로 귀걸이를 만들어 이용하였다. 고대와 삼국시대에는 구슬, 금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든 귀걸이가 쓰였다.유물로 전해지고 있는 삼국시대의 귀걸이들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나 구조에서는 대체로 세 가지 요소 즉 귀에 닿는 고리부분과 그 밑의 중간장식 그리고 맨 아래의 드림장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 시기의 금귀걸이는 귀에 닿는 고리의 굵기에 따라 가는 고리 금귀걸이와 굵은 고리 금귀걸이로 나누는데 여기서 가는 고리 금귀걸이가 먼저 생긴 것이었고 굵은 고리 금귀걸이는 뒤늦게 나타난 형식이었다. 그러나 이 두 종류의 귀걸이들은 당시 사람들의 기호에 맞는 것이었으므로 병존하면서 여성들의 개성적 취미에 따라 이용되었다. 이러한 값진 귀걸이들은 높은 금가공기술에 의해 예술적으로 잘 만들어진 것이었으므로 공예적 가치도 대단히 컸다.

여자들이 귀걸이를 하는 풍습은 그 이후 시기에도 이어졌는데 조선 초기까지만 하여도 귀에 구멍을 뚫고 귀걸이를 다는 관습이 그대로 답습되었다. 귀에 구멍을 뚫어 부모가 낳아 키워준 몸에 함부로 인위적인 상처를 입히는 것을 유교에서는 부모를 섬기고 받드는 도리에 어긋나는 불효죄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당시의 조선시대에는 이 관습을 1572년에 금지하는 조치까지 취하였다. 그후 귀에 구멍을 뚫지 않고 귀걸이에 큰 고리를 달아 귓바퀴에 그것을 걸어 다는 방법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귀걸이를 다는 풍습은 점차 없어져 조선 말기에는 혼례 때에 신부가 귀걸이를 걸었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 옷차림풍습의 역사개관
    - 일상옷차림
    - 예복차림
    - 관복차림
    - 무대옷차림
    - 옷감의 색깔 및 무늬
    - 옷짓기와 옷보관 관습
    - 옷차림의 특징과 예절
    - 옷차림의 계승발전
    - 침구관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