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치렛거리에는 동곳, 풍잠, 댕기 등이 있었다. 동곳은 상투가 풀리지 않게 꽂는 물건인데 모양은 끝이 뾰족하고 위에 둥근 머리가 있었다. 그러므로 동곳은 남자들이 상투를 트는 풍습과 관련하여 생긴 것이었다. 우리나라에서 남자들이 상투를 트는 풍습은 이미 고대부터 있었으므로 동곳도 그때에 생겨나 이용된 것으로 짐작된다. 그후 동곳이 점차 머리장식을 겸하게 되면서 여러 가지 값진 물건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순금으로 만든 동곳이 나오게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금, 은, 밀화, 호박, 마노, 비취, 산호, 옥, 진주, 나무, 뼈, 백동, 놋쇠 등으로 만든 동곳이 유행되어 머리를 치장하였다. 죽은 사람에게는 버드나무로 만든 동곳을 꽂아 주는 풍습이 있었다.
풍잠은 갓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망건 앞쪽에 다는 치렛거리였다. 풍잠도 처음에는 실용적인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이었으나 그후 점차 장식을 겸하게 되면서 조선시대에는 호박, 마노, 대모, 금패, 소뿔, 나무, 뼈 등으로 만들어졌다. 댕기는 머리칼 장식을 위한 끈이었는데 남자들의 경우에는 어린이들이 매었다.
삼국시대에 총각들은 상투를 틀지 않고 머리를 길러 뒤에 외줄로 묶거나 양쪽으로 갈라 짧게 묶곤 하였다. 이 머리채를 묶는 끈을 댕기라고 하였는데 댕기도 점차 장식용으로 이용되었다. 고구려의 수산리고분벽화에서 곡예를 하는 사내아이가 머리를 좌우로 갈라 짧게 묶고 붉은 끈으로 맨 것은 댕기를 다는 풍습의 한 실례이다. 총각의 머리에 맨 붉은 끈은 은근한 장식적 효과도 나타내어 그의 모습을 귀엽게 보이게 한다.
고려시대의 총각들은 머리를 검은 끈으로 묶고 나머지를 아래로 늘어뜨렸으며 조선시대의 총각들도 머리를 외줄로 땋고 끝에 댕기로 매어 뒤로 늘어뜨렸는데 이때에 이용된 댕기들은 대체로 검정갑사로 만든 것이었다. 그 폭은 처녀들의 댕기보다 좁았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