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짧은 겉옷에는 덧저고리, 마고자, 등거리 등이 있었는데 모두 윗몸만 덮는 간편한 것이었다. 덧저고리는 일상시에 입던 저고리와 형태가 꼭 같았으나 길이가 허리 아래까지 내려와 엉치에 닿을 정도로 긴 것이 일반 저고리와 구별되었다. 덧저고리라는 이름은 저고리 위에 덧입는 저고리라는 뜻에서 생겨났다. 덧저고리는 길이나 품이 저고리보다 컸으므로 큰저고리라고도 불렀다.
덧저고리는 삼국시대의 남자 저고리가 고려시대에 와서 점차 짧아지게 되자 본래의 긴 저고리가 겉옷으로 이용되면서 생겨났다. 덧저고리는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이었으므로 품이 보통 저고리보다 전반적으로 더 넓었으며 대체로 무명이나 명주 등을 겹으로 하고 솜을 두어 만들었다. 덧저고리는 활동에 편리한 겉옷이었기 때문에 농민들과 뱃사람들, 어부들이 겨울철에 방한용 옷으로 입었으며 특히 산간지대 주민들 속에서 덧저고리가 널리 퍼졌다. 그것은 산간지대의 기후가 평야지대보다 더 추운 것과 많이 관련되었다.
덧저고리를 입을 때는 고름을 맨 후 노동에 편리하게 허리띠를 띠는 것이 관례였다. 그러나 조선 말기, 근대에 들어와서 고름 대신 단추를 달아 채우게 하는 덧저고리도 생겨났다.
마고자는 저고리와 비슷하나 깃, 동정, 고름이 없고 섶을 여미지 않으며 고름 대신 단추를 달아 채울 수 있게 한 겉옷이었다. 마고자란 고유한 우리말로서 그 유래가 매우 오랜 것이라 짐작된다. 마고자와 같은 형식의 옷은 이미 삼국시대에 있었다. 안악3호무덤 앞방 서쪽벽에 그려진 벽화에서 무관 장하독은 깃이 없고 앞을 여미지 않은 형식의 겉옷을 입었는데 그 길이는 허리를 넘는 당시의 저고리와 비슷하다. 그러므로 이 겉옷은 깃이 없고 맞섶이라는 점에서 마고자와 같은 형태의 짧은 겉옷이었다고 볼 수 있다.
삼국시대에 이 옷을 무엇이라고 불렀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후 길이가 점차 짧아지면서 조선시대에는 당시의 저고리만한 정도의 것으로 되었다. 조선시대의 마고자는 대체로 겉을 비단으로 하고 안을 무명이나 명주 등으로 하여 만들었으며 단추는 일반적으로 호박을 잘 가공하여 만든 매미단추 등을 한 개 정도 달았다. 마고자는 대체로 봄, 가을에 저고리 위에 입는 간편한 겉옷으로 이용되었으나 간혹 여름철에도 얇은 비단천으로 지은 마고자를 입는 경우가 있었다.
등거리는 등에 걸쳐 입는 옷이라는 뜻을 가진 고유한 우리말이다. 과거에 겉옷에 속한 등거리를 고유한 우리말의 뜻을 살려 ‘배자’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배자로 표기된 등거리는 노동복으로 입던 등거리와는 달리 겉옷으로 이용된 등거리만을 의미하였다. 이 등거리는 저고리 위에 입는 조끼 모양의 덧옷으로서 양소매를 달지 않았으며 대체로 앞자락이 뒷자락보다 약간 짧았다. 이러한 겉옷은 일찍부터 이용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자료는 고려시대부터 보인다.
12세기 중엽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동자무늬박이청자잔’과 ‘동자포도무늬박이청자주전자’에 형상된 어린이가 입은 옷을 통하여 고려시대에 겉옷용의 등거리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 도자기들에 형상되어 있는 어린이옷은 소매가 없고 앞이 완전히 터진 것으로서 등거리와 같은 형태의 옷이다. 우리나라의 남자옷이 형태에서 어른 것과 어린이 것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도자기에 형상된 어린이의 등거리를 통하여 당시 어른들의 등거리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등거리는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등거리도 사람들의 취미와 기호 등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자료들을 종합해 보면 조선시대 남자 등거리에는 두 가지 형식이 있었다. 그 하나는 깃이 없고 소매가 달려 있지 않으며 앞자락이 뒷자락보다 짧고 겨드랑이 아래끝이 약간 터져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앞을 여미지 않는 맞섶형식으로 되어 끈으로 만든 매듭단추를 채우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등거리를 황해남도 태탄군 지촌리에서 출토된 17세기 중엽의 유물에서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19세기말의 유물에서 볼 수 있는데 위에서 지적한 등거리와 기본적으로 같았으나 깃이 있고 동정도 있으며 매듭단추 대신 겨드랑이 부분에 좁은 끈을 달아 앞가슴에서 등뒤로 한 번 돌려매게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두 형태의 등거리에서 공통점은 소매가 없고 맞섶 형식으로 되어 여미지 않는 것이며 앞자락이 뒷자락보다 짧다는 점이다. 그리고 겨드랑이 아래끝이 약간 터져 있는 것이었다. 이것은 두 옷이 같은 갈래의 옷이라는 것을 보여 주며 차이점은 시대적 미감이나 입는 사람들의 기호에 따라 생긴 것이었다. 이러한 등거리들은 대체로 명주나 비단 등을 겹으로 하여 만들었거나 솜을 얇게 두어 누벼 만들었으며 색깔은 남색으로 된 것이 많았고 흔히 중년 남자들이 집안에 있을 때 널리 입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