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옷차림풍습 > 일상옷차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남자의 일상 옷차림
웃옷
아래옷
겉옷
머리꾸밈새와 쓰개
버선과 신발
행전과 토수
치레거리
여자의 일상옷차림
달린옷
겉옷
치레거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주제선택 북한지역정보넷
* 조회 할 분류명을 선택 하십시오.
북한지역정보넷 바지
바지라는 말은 고유한 우리말인데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인 남자 아래옷을 대표하는 말로 쓰여 왔다. 바지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자료는 고대시대부터이다. 옛기록에 의하면 고대와 삼국시대에는 바지를 ‘고(袴)’, ‘가반’이라고 표기하였다. 여기서 ‘고’는 바지에 대한 당시의 한자어였으며 ‘가반’은 바지에 대한 삼국시대의 고유어였다. 옛기록에는 ‘고’가 널리 쓰였으나 실제 백성들의 생활에서는 ‘가반’과 같은 고유어가 널리 쓰였을 것이다. 옛기록에 의하면 삼국시대 바지에는 그 형태와 재료, 색깔 등을 특징지어 붙인 이름도 있었다. 바지 형태를 특징지어 붙인 이름으로는 ‘궁고(窮袴)’, ‘대구고(大口袴)’, ‘태구고(太口袴)’ 등이 있었고 재료를 특징지어 붙인 이름에는 ‘능고(綾袴)’, ‘갈고’, 색깔을 특징지어 붙인 이름으로는 ‘적황고’, 색깔과 재료를 특징지어 붙인 이름으로는 ‘청금고’ 등이 있었다.

여기서 ‘궁고’는 가랑이가 좁은 바지를 의미하였으며 ‘대구고’, ‘태구고’ 등은 가랑이가 너른 바지를 의미하였다. ‘능고’는 비단인 ‘능’으로 지은 바지였고 ‘갈고’는 모직으로 지은 바지였다. ‘적황고’는 이름 그대로 붉은빛을 띤 황색 바지를 의미하였으며 ‘청금고’는 푸른색의 비단인 금(錦)으로 지은 바지를 의미하였다.

삼국시대의 바지 형태는 고분벽화를 통하여 잘 알 수 있다. 벽화들에 의하면 이 시기의 바지 형태는 짧은 바지와 긴 바지가 있었다. 짧은 바지는 씨름무덤을 비롯한 다른 고분벽화에서도 씨름꾼들이 입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씨름경기와 같은 체육경기와 노동을 할 때 입었던 바지로 추정되며 평상시에는 남자들의 속옷바지로도 이용되었던 것 같다. 긴 바지는 그 모양이 오늘날의 양복바지처럼 생겼으며 여기에는 가랑이가 좁은 것과 너른 것이 있었다. 가랑이가 좁은 바지는 활동에 편리하였으므로 주로 일상적으로 노동생활을 하는 일반 백성들이 입었으며 너른 바지는 한가한 생활을 하는 양반귀족들이 입었다.

이 시기 남자 바지 가랑이 끝에는 일반적으로 좁은 단이나 끈을 달아 가랑이 끝을 좁힐 수 있도록 하여 활동에 편리하게 하였다. 삼국시대에 남자 바지에도 저고리처럼 가랑이 끝에 선을 댔다. 일반 백성들이 입는 바지에는 주로 검은색을 비롯한 진한 색의 선을 달아 더러움이 눈에 잘 띄지 않게 하였지만 양반관료들의 바지에는 붉은밤색이나 무늬있는 선을 달아 장식적 의의를 더 강조하였다.

바지 색깔도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벽화들에 의하면 일반 백성들의 바지 색깔에는 누른색, 흰색, 붉은밤색이 많았고 통치계급들의 바지 색깔은 이외에 검은색, 푸른색, 연분홍색, 풀색 등 매우 다양하였다. 바지 무늬도 매우 다양하였는데 벽화에 의하면 남자들의 바지 무늬에는 점무늬, 방형무늬, 토막선무늬 그리고 그것들을 배합한 무늬 등이 있었다. 일반 백성들의 바지 무늬에는 단순한 점무늬가 위주로 되어 있었다.

삼국시대의 바지는 발해 및 통일신라시대에도 거의 그대로 계승되었으며 이름도 ‘고’라고 표기하였다. 그후 고려시대에 와서도 바지는 그대로 계승되었다. 『계림유사』에 의하면 이 시기 바지를 ‘고’라고 쓴 것 외에 새롭게 ‘가배’라고도 표기하였는데 그것은 삼국시대에 바지를 이르던 ‘가반’이 와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밖에 바지형태를 특징지여 ‘궁고’ 또는 ‘광고(廣袴)’라고도 표기하였는데 ‘궁고’는 삼국시대의 것과 같이 가랑이가 좁은 바지를, ‘광고’는 ‘대구고’와 같이 가랑이가 너른 바지를 의미하였다.

‘궁고’는 백성들과 함께 군인들도 입었다. 기록에 ‘용호중맹군’의 관직을 가진 군인이 ‘궁고’를 입었다고 한 사실이 그것을 잘 말해 준다. ‘궁고’에 관한 옛기록이 군인에 관한 옷차림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당시 군인들만이 ‘궁고’를 입었으며 그밖의 사람들은 ‘광고’를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군인들은 물론 군사활동의 편의상 ‘궁고’를 입게 된 것이겠지만 종전까지 노동생활의 요구로 ‘궁고’를 입었던 일반 백성들은 고려시대에 와서는 점차 ‘광고’를 널리 입게 되었다. 그것은 방안에서 앉아 생활을 해오는 과정에 ‘궁고’보다 ‘광고’가 생활상 편리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고려시대에 일반 백성들이 ‘궁고’보다 ‘광고’를 많이 입었다는 것은 이 시기의 유물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엽호헌원사릉경’ 뒷면에 사냥을 하는 4명의 남자들이 입은 바지는 삼국시대에 일반 백성들이 입던 바지보다 가랑이가 좀더 너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놋거울에 새겨진 인물상에서도 볼 수 있다.

남자 바지는 그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계속 넓어지는 경향을 띠였다. 『국혼정례』와 『상방정례』에 의하면 조선시대에 바지를 ‘파지(把持)’라고 표기하였다. ‘파지’는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우리말 고유어인 바지와 같은 음으로서 바지의 한자어 표기이다. 그러나 ‘파지’라는 글자가 조선 초기의 기록에 처음 보인다고 하여 바지라는 말이 이때부터 씌어졌다고는 볼 수 없다. 그것은 ‘적고리’라는 한자 표기가 조선 초기에 처음 보인다고 하여 저고리라는 말이 이때부터 생겨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조선시대의 기록들에는 바지를 ‘파지’, ‘고’ 등으로 표기하였지만 백성들 속에서는 실제로 ‘고이’, ‘고의’, ‘고쟁이’ 등의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가비’라고도 하였다. ‘고이’, ‘고의’, ‘고쟁이’ 등은 바지를 한자로 표기한 ‘고의(袴衣)’에서 나온 말이다. 그리고 ‘가비’는 삼국시대의 고유어였던 ‘가반’이 고려시대에 ‘가배’로, 조선시대에 ‘가비’로 불렸다고 생각된다.

조선시대에 남자의 아래옷은 이와 같이 여러 가지로 불렸지만 조선 말기에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된 말은 ‘파지’로 표기된 바지였다. 조선 말기까지 전하여 온 남자 바지에는 홑바지, 겹바지, 누비바지, 솜바지 등이 있었다.

홑바지는 대체로 베나 모시, 무명, 명주 등의 홑옷감으로 지은 여름철의 바지였으며 겹바지는 무명이나 명주, 비단 등의 옷감을 겹으로 하여 지은 바지로서 주로 봄, 가을에 입었다. 누비바지는 무명이나 명주 등의 옷감을 겹으로 하여 거기에 솜을 얇게 두어 누빈 것인데 초봄이나 늦가을, 날씨가 좀 찰 때 입었다. 솜바지는 무명이나 명주, 비단 등의 옷감을 겹으로 하여 거기에 솜을 두툼히 두어 지은 바지로서 주로 추운 지역에서 겨울철에 많이 입었다.

조선시대 남자 바지들은 대체로 흰색이었으나 양반들과 어린이들은 색깔바지를 입기도 하였다. 노인들의 경우에는 흰색 바지를 즐겨 입었다. 조선시대 남자 바지는 가랑이가 대단히 넓었으므로 가랑이 끝을 대님으로 매어 걷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 그리고 가랑이가 넓은 바지는 민첩한 활동에 불편하였으므로 군사들과 활동적인 행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은 가랑이가 좁은 홀태바지를 입었다. 또한 뒤를 가려 보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는 밑을 터지게 한 풍차바지(짜개바지)를 입혔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 옷차림풍습의 역사개관
    - 일상옷차림
    - 예복차림
    - 관복차림
    - 무대옷차림
    - 옷감의 색깔 및 무늬
    - 옷짓기와 옷보관 관습
    - 옷차림의 특징과 예절
    - 옷차림의 계승발전
    - 침구관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