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금강산
묘향산
구월산
칠보산
통합검색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금강산 > 해금강 > 동정호구역
UCI :
G001+KR00-IPA.071208.D0.TBN010300012493
스크랩주소 :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NatureCultureDetail.aspx?mc=BN0105&id=BN010300012493&rightType= &direct=1
내부조회수 :
2501
/ 외부조회수 :
4
스크랩수 :
0
시중호(侍中湖)
카테고리 :
금강산
주제 :
해금강
분류 :
동정호구역
강동리 시중호(천연기념물 제212호)
강원도 통천군 산과 내. 강원도 통천군의 동쪽 바닷가에 있는 호수. 원산에서 통천으로 통하는 도로 옆에 있는데, 예로부터 으뜸으로 꼽을 만큼 경치가 아름답다 하여 시중호라고 하였다. 시중은 고려시대의 으뜸가는 벼슬이름이었다. 시중호수 옆에 세운 정각 이름도 호수 이름을 따라 시중대라 한다. 시중호는 원래 작은 만이던 것이 사취에 의해서 만이 막혀서 생긴 석호이다. 시중호수바닥은 두터운 감탕층으로 되어 있는데, 이 감탕은 여러 가지 병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 시중호요양소가 있다.
시중호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깃들어 있다. 옛날 시중호 근방의 한 마을에 착하고 부지런한 정갑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나무를 해지고 내려오던 그가 못가에서 쉬는데 왜가리가 게를 물고 날아오르려고 하고 게는 풀을 붙들고 있었다. 정갑은 작대기로 왜가리를 힘껏 내리쳤다. 날개를 얻어맞은 왜가리는 퍼덕거리다가 겨우 하늘로 올라갔고 죽을 고비에서 구원된 게는 무슨 사의나 표하듯 눈을 세웠다 눕혔다 하더니 물 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이런 일이 있은 지 몇 해 지나서 정갑은 뼈마디가 쑤시고 팔다리가 저려서 일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정갑은 아픔을 참고 매일 산에 올라가 나무를 해가지고 오군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나무를 지고 못까지 온 그는 더는 걸을 수가 없어 쑤시는 팔다리를 주무르다가 깊은 잠에 들었다. 그가 이상하게도 어디론가 훨훨 날아가는 꿈을 꾸고 깨어나 보니 수많은 게들이 해감탕을 물고 호수에서 나오기도 하고 들어가기도 하는 것이었다. 신기하여 몸을 일으키니 게들이 자기의 몸을 해감탕으로 덮고 있었는데, 그 속에는 이전에 자기가 구해 준 큰 게도 있었다. 정갑은 온몸을 움직여 보았다. 쑤시고 저리던 팔다리의 아픔은 간데 없이 사라졌고 감탕을 씻고 나니 몸이 거뜬하고 기분이 상쾌하여 날 것만 같았다. 그때부터 시중호의 감탕흙은 신경통의 특효약으로 소문이 퍼져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검색 결과
제목
조회수
스크랩수
번호
제목
스크랩
조회수
1
시중호(侍中湖)
0
2501
2
동정호(洞庭湖)
0
2346
3
국도(國島)
0
2231
4
금강산 해금강 동정호구역 개요
0
1540
5
석황굴(石黃窟)
0
1530
6
만직대
0
1352
7
철망석[만직대]
0
1345
8
천아포(天鴉浦)
0
875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Total
1
Page
1
텍스트
미디어
번호
제목
구분
조회수
39
시중호
(
侍中湖
)
5대명산
22
38
시중호
감탕
자연지리정보
12
37
시중호
(
侍中湖
)
자연지리정보
1116
36
시중호
(
侍中湖
)
자연지리정보
22
35
시중호
(
侍中湖
)
천연기념물
42
34
시중호
(
侍中湖
)
자연지리정보
42
33
시중호
요양소(
侍中湖
療養所)
인문지리정보
49
32
시중호
감탕기후요양지
자연지리정보
7
31
시중호
(
時中湖
)
자연지리정보
8
30
시중호
역(
侍中湖
驛)
인문지리정보
0
29
장자강호(將子江湖)[
시중호
]
자연지리정보
7
28
강원도 통천군 강동리 개요
행정구역
0
27
금강산 해금강 동정호구역 개요
5대명산
3
26
수천마을(繡川~)
인문지리정보
0
25
뒤산
자연지리정보
0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1
2
3
선택해주세요
재외동포재단
중앙일보북한네트워크
한국정보화진흥원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저작권정책
개인정보보호정책
위치 및 연락처
관리자에게
배너및뷰어
[우]122-834 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161-5 역촌빌딩 5층 TEL: (02)358-0612~5 FAX: (02)384-1924
Copyrightⓒ 2008 by 평화문제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개관
-
지명유래
-
역사
-
옛이름
-
교통
자연
-
지질과지형
-
기후
-
수문
-
동물
-
식물
-
야생특산식물
유물유적
내금강
-
구성구역
-
만천구역
-
만폭구역
-
망군대구역
-
명경대구역
-
백운대구역
-
비로봉구역
-
태상구역
외금강
-
구룡연구역
-
만물상구역
-
발연소구역
-
백정봉구역
-
선창구역
-
선하구역
-
송림구역
-
수정봉구역
-
온정구역
-
은선대구역
-
천불동구역
해금강
-
동정호구역
-
삼일포구역
-
총석정구역
-
해만물상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