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민속음악 > 민간기악곡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삼현령산
신아우
산조
북한지역정보넷 산조
‘산조(散調)’란 ‘흩은 가락’이라는 우리 말을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서 여러 개의 장단악장들로 구성된 기악독주곡을 말한다. 산조는 19세기 말에 기악명수들이 판소리형 장단에 판소리형 선율을 즉흥적으로 연주해 나가는 과정에 새로운 기악양식의 하나로 창조되었다.

이 시기에 산조와 같은 기악양식이 나오게 된 것은 민간음악의 급격한 발전과 관련되어 있었다. 당시 민간음악분야에서는 시대적 요구와 미감에 맞는 연쇄가요 양식과 가야금병창양식이 발전하였다. 더욱이 민간에 민족악기가 광범히 보급됨에 따라 가야금, 현금, 해금, 대금 등 각종 악기에 정통한 기악명수들이 수많이 배출되었다. 이로부터 당시에 활동한 기악명수들인 김창조, 한숙구, 백락준, 지룡구, 박종기 등은 판소리장단에 판소리 선율을 얹어 즉흥적으로 악기를 연주하곤 하였는데 이 과정에 산조라는 하나의 기악양식이 창조되었다.★

산조는 판소리에서 이용되고 있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엇모리, 잦은모리, 휘모리 등 여러개의 장단악장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같은 장단악장 안에서도 리듬과 선율적 변화로써 몇 개의 장으로 구분되는 장별 제 형식으로 되어있다. 산조의 이러한 장단악장구성은 가야금, 거문고, 해금, 대금 등 악기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었으나 느린 진양조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빨라지는 중모리, 중중모리, 잦은모리를 거쳐 매우 빠른 휘모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산조는 여러개의 장단악장으로 구성될 뿐 아니라 몇 개의 악조로도 나누어지는데 장엄하고 웅건한 느낌을 주는 ‘우조’, 화평스럽고 온화한 정서를 주는 ‘평조’, 슬프고 애절한 감정을 자아내는 ‘계면조’ 등으로도 이루어졌다. 산조에서 대표적인 것은 ‘가야금산조’이다. ‘가야금산조’는 원래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잦은모리, 휘모리의 5개 장단악장으로 되어 있었는데 지금 전해지는 것은 진양조, 중모리, 엇모리, 중중모리, 잦은모리, 휘모리의 6개 장단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야금산조’의 음악형상은 당시 민족의 정서생활을 사실주의적으로 반영하는데서 창조된 것이다. 매 악장들은 장단과 음조적 및 조식적 대조, 선율표현의 대조원칙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음악적 갈등을 승화시킨다. 그리고 산조악장들의 구성원칙은 3기법(만기〈느리게〉, 중기〈보통속도〉, 삭기〈빠르게〉)에 기초하고 있다. 이 3기법은 속도적 대조에서 이루어지며 느린 것으로부터 빠른 것에로, 정적인 것으로부터 동적인 것에로의 점차적 고조의 법칙이 적용되고 있다.

‘가야금산조’는 무의미한 연주기교를 위한 틀과 낡은 판소리음조에 바탕을 둔 것으로 하여 민간에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다만 가야금연주가들의 기본연주곡목의 하나로 계승되었을 뿐이었다. 그러나 ‘가야금산조’는 우리나라의 민족음악발전에 이바지한 대표적인 민간 기악곡 유산의 하나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 민속음악의 역사개관
    - 민요
    - 동요
    - 민족악기
    - 민간기악곡
    - 민속극음악
    - 민간음악단
    - 민속음악의 계승발전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