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민속음악 > 민요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노동민요
세태민요
민속놀이민요
사회정치민요
지방민요
민요의특징
북한지역정보넷 여름농사철에 부르던 민요
여름철은 곡식들이 무성하게 자라나고 열매를 맺는 계절인 동시에 농민들에게 있어서는 가장 힘들고 품을 많이 들이는 계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모내는 소리’와 ‘모찌는 소리’, ‘김매는 소리’, ‘메나리’, ‘물푸는 소리’, ‘풀베는 소리’ 등과 같은 노래들이 불려졌다. 이 가운데서 ‘모내는 소리’와 ‘김매는 소리’는 농업노동요에서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음악형상수준도 매우 높다.

‘모내는 소리’는 전국 각 지방들에서 다 불려졌는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논농사를 많이 하던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의 서해안 지방들과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불려졌다. ‘모내는 소리’는 지방에 따라 ‘아용타령’(황해도), ‘상사소리’(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아라리소리’(강원도, 경상도), ‘방아소리’(황해도, 경기도), ‘덩지타령’(개성) 등으로 불려지기도 하였다. ‘모내는 소리’가 이처럼 각이한 이름으로 불려진 것은 이 노래의 반복구(받는 소리)가 지방에 따라 ‘아용아용 에헤요’(황해도), ‘하나하나 하나로구나’(황해도, 경기도), ‘얼널널(또는 여여루) 상사디야’(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함경도) 등과 같이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른 것과도 관련되어 있었다.

‘모내는 소리’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전라도지방의 ‘농부가’(상사소리)를 들 수 있다. 노래는 중모리장단으로 된 약간 느린 속도의 ‘긴 농부가’와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보통속도의 ‘잦은 농부가’로 나뉘어져 있다. 논농사를 많이 하던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의 서부지방들과 경상도의 남부지방들에서는 ‘모내는 소리’와 함께 ‘모찌는 소리’도 널리 불려졌다.

‘모찌는 소리’에는 대체로 ‘쪘네 쪘네 모를 한짐 쪘네’로 시작하여 한줌 떴다, 두줌 떴다는 식으로 숫자를 세어 나간 것도 있고 그뒤에 ‘계란을 찌려다가 닭알을 쪘네’라고 해학적인 말로 엮어나간 것도 있으며 어서 빨리 모를 떠서 논판에 보내주자고 호소한 내용으로 된 것도 있다. 모뜨는 일은 비교적 적은 인원으로 진행하였고 또 활동적인 일도 아닌 것만큼 노래의 선율은 ‘모내는 소리’처럼 폭넓게 전개되지 않으며 음악형상은 밝고 명량하나 매우 단조롭다. 대표적인 민요로는 황해도 배천지방의 ‘모뜨는 소리’를 들 수 있다.
모내기철에는 ‘물푸는 소리’도 널리 불려졌다. 일반적으로 물을 푸면서 부르던 노래를 ‘물푸는 소리’라고 하지만 물푸는 기구에 따라 ‘용드레소리’ 또는 ‘드레소리’라고도 불렀다. ‘물푸는 소리’에는 숫자들의 셈세기로 이루어진 것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것은 이 노래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물푸기 작업동작의 지루함을 극복하며 또 물푸는 일을 밤에 하는 조건에서 퍼내는 물의 양을 정확히 계산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지고 불려진 노래였기 때문이다.

하지 전으로 모내기가 기본적으로 끝나게 되면 김매는 작업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때부터 들판에는 ‘김매는 소리’가 울려퍼졌다. ‘김매는 소리’는 벌방이건 산간지방이건 전국각지의 어느 지방에서나 다 불렀는데 지방에 따라 ‘기나리’(평안도의 청천강 이남지방), ‘호미타령’(청천강 이북지방), ‘선소리’(함경도), ‘푸지기’(황해도, 경기도, 충청도), ‘방개소리’(전라도), ‘메나리’(강원도, 경상도) 등으로 불려지기도 하였다. 그리고 김매는 시간에 따라 아침, 점심, 저녁 때에 부르는 노래, 김매는 횟수에 따라 초벌김, 두벌김, 세벌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 김매는 대상에 따라 논김맬 때와 밭김맬 때 부르는 노래로 나누어지기도 하였다.

‘김매는 소리’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평안도 용강을 중심으로 강서, 온천, 증산, 순안 일대에서 널리 불려지던 ‘용강기나리’를 들 수 있다. 이 민요는 자유박자로 된 ‘기나리’와 굿거리장단으로 되어 있는 ‘타령’으로 모아진 연쇄곡 형식의 노래인데 유유하고 유창하게 흐르는 ‘기나리’와 적극적이고도 흥겹게 흐르는 ‘타령’이 서로 정서적 대조를 이루고 있다. ‘기나리’와 달리 ‘타령’에서는 노동속에서 맺어지는 남녀간의 순결한 사랑의 감정을 노래하고 있다.

‘용강기나리’에서 ‘기나리’는 대체로 작업이 시작될 때, ‘타령’은 작업이 한창 고조되었을 때 불렀다. 노래는 다른 민요들처럼 악단이나 악절 단위로 먹이고 받는 것이 아니라 한 개 절씩 통채로 주고받았다. 노래는 먼저 목청 좋은 사람이 한마디 부르면 그의 옆에서 김매는 사람이 그것을 받는 방법으로 한사람씩 차례 차례로 부르기도 하였고 또 이쪽 밭에서 부르면 건너편 밭에서 그 노래를 받아 부르는 식으로도 불렀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 민속음악의 역사개관
    - 민요
    - 동요
    - 민족악기
    - 민간기악곡
    - 민속극음악
    - 민간음악단
    - 민속음악의 계승발전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