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종날은 음력 7월 15일로서 기록들에 ‘백중’, ‘망혼일’, ‘중원’으로도 씌여 있다. 이러한 각이한 명칭들은 7월 15일 명절의 행사내용과 전설들에 기초하여 나온 것이다. 백종이라는 것은 백가지 종류라는 뜻으로서 백가지 꽃과 과일을 부처에게 공양한다는 것이다. 백중이라는 말은 백종이 발음상 와전된 것이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망혼일이라는 말은 ‘망친혼일’의 준말로서 돌아간 선조들의 혼을 잊지 않고 위로하는 날이라는 뜻이다. 사람들은 이날 밤에 음식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이름뿐이고 제사를 지낸 일은 없었다. 중원이라는 말은 상반년의 첫달 보름날인 15일을 상원이라고 한데로부터 하반년의 첫달 보름인 7월 15일을 그렇게 부른 것이다. 7월 15일쯤 되면 논김을 다 매고난 뒤여서 농민들의 발뒤꿈치가 닳고 씻겨서 하얗게 된다는 뜻에서 백종‘(白腫)’이라고도 썼다.
이 시기 기록에 의하면 고려에서 불교를 숭상하면서 7월 15일에 우란분회를 가졌다고 하였다. 우란분회란 백과를 그릇에 담아 부처에게 올리는 행사였다.
조선시대 백종날의 행사는 앞선 시기와 달라졌다. 물론 이 시기에도 이날에 불교적인 행사를 절에서만 하였을뿐 민간에서는 농산작업과 관련되어 있는 ‘호미씻이’라는 행사를 진행하였다. 그것은 이 시기 억불정책으로 불교적인 행사는 점차 쇠퇴되고 농민들의 호미씻이 행사만이 성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호미씻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김매기를 끝낸 다음 호미를 깨끗이 씻어둔다는 뜻으로서 김매기를 끝낸 기쁨을 동리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것이었다. 이날 집집에서는 음식을 장만해 가지고 나와 산이나 골짜기에 모여 함께 음식을 나누면서 노래하고 춤추며 하루를 즐겁게 보내었다. 이날을 계기로 농민들은 호미를 모두 깨끗이 씻어서 광이나 허청간에 걸어두었다. 호미씻이는 힘든 김매기를 끝낸 기쁨을 나누고 축하하며 이웃사이에 서로 협조하고 친목을 도모하는데서 좋은 계기로 되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