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옷차림풍습 > 무대옷차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농악무옷
탈춤옷
칼춤옷
북춤옷
마상재옷
악공의 연주복
북한지역정보넷 북춤옷
북춤옷은 북을 소도구로 이용하여 추는 무용수의 무대의상이다. 북춤옷은 연원은 매우 오래지만 오늘까지 전하여 오고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북춤옷으로는 고구려시대의 것을 들 수 있다. 고분벽화에 의하면 고구려에는 이미 손북춤과 장고춤이 있었으며 그에 따르는 춤옷도 갖추어져 있었다.

손북춤을 춘 무용수들의 무대의상차림은 손북춤의 경쾌한 율동에 어울리게 흰 바지에 연한 붉은색의 저고리를 입고 흰 허리띠를 띤 소박한 것이었다. 벽화가 흐려서 더 자세한 것을 가려 보기 어렵지만 이 춤옷에도 예술적인 효과를 살리기 위한 치렛거리가 있었을 것이다.

장고춤을 춘 남자 춤꾼들의 옷차림은 바지, 저고리 위에 긴 겉옷을 걸친 차림새였다. 겉옷 색깔은 회푸른색을 띤 것으로서 깃에는 흰 선을 달았다. 원래 장고춤옷은 무용수가 장고를 메고 치면서 그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는 데 편리하면서도 예술적으로 곱게 꾸민 춤꾼의 옷이다. 벽화에서는 장고춤을 추는 춤꾼이 비록 긴 겉옷을 입기는 하였으나 거추장스러운 감이 없고 경쾌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준다. 이것은 우아한 율동과 약동적인 장고 장단이 조화된 장고춤의 특성에 잘 어울린 차림새였다. 북춤은 그후에도 우리 민족춤으로서 계승되었다. 이 과정에 북춤의 종류도 더 늘어나고 그에 따라 무대의상도 다양해졌다.

조선 말기까지 계승되어 온 북춤옷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으나 그 가운데서 대표적인 것은 장고춤옷과 큰북춤옷, 세운북춤옷 등이었다. 장고춤은 남녀가 즐겨 추는 민속무용의 하나로서 민간에서 널리 보급되었지만 후세에 오면서 특히 여자가 추는 장고춤을 알아주게 되었다.

민간에서 여자들이 장고춤을 출 때에는 일상시의 옷차림과 별다른 것이 없이 치마, 저고리를 입고 버선에 짚신을 신었으나 젊은 여자들은 흔히 회장저고리를 입고 차림새를 화려하게 하였다. 그리고 장고를 메고 춤을 추는 데 편리하게 치마를 약간 걷어올려 허리끈으로 고정시켰다. 이렇듯 장고춤옷은 장고춤의 민간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옷 자체도 일상시에 근로여성들이 입던 옷과 별차이가 없었다.

큰북춤은 큰 북을 중심으로 네 명의 여자 무용수가 추는 예술무용으로서 주로 궁중에서 추는 춤이었다. 1820년대 큰북춤의 무대의상차림은 네 명의 춤꾼이 모두 치마, 저고리에 다섯 가지 빛깔이 나는 한삼을 단 원삼을 입고 화려한 수를 놓은 붉은 비단띠를 띠었으며 초풀색 비단신을 신었다. 그리고 머리에는 모두 아름다운 화관을 맵시있게 썼다. 치마는 두 벌 껴입었는데 속에 입은 치마는 남색이었고 겉에 입은 치마는 붉은색이었다.

또한 원삼의 색깔은 네 명의 춤꾼이 다 달랐는데 매 사람이 푸른색, 붉은색, 검은색, 초풀색의 네 가지 색깔 가운데서 어느 한 가지 색을 택하였다. 그리하여 네 가지 색깔의 원삼을 입은 무용수들이 춤을 추면 무대는 참으로 화려하게 보였다.

큰북춤의 이러한 무대의상차림은 그후 약간의 변화과정을 거쳐 19세기말~20세기초에는 원삼 대신에 쾌자를 입게 되었으며 그 색깔도 종래와는 달리 검은색 대신에 흰색이 첨가되어 푸른색, 붉은색, 풀색, 흰색으로 되었다. 여기서 원삼 대신 각기 다른 색깔의 쾌자를 입게 된 것은 아마도 율동적인 춤가락에는 원삼보다도 쾌자가 더 경쾌하고 편리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며 검은색 대신에 흰색으로 바꾸어 놓은 것은 그것이 색 배합에서 조화롭고 산뜻한 감을 주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세운북춤은 세운 북을 무용수가 두드리면서 추는 예술무용의 하나였다. 세운북춤도 주로 궁중에서 춘 춤으로서 거기에 이용된 무대의상은 궁녀들의 옷에 기초하여 만든 것이었다. 무용수들은 치마, 저고리에 원삼을 입거나 쾌자를 입었으며 머리에는 화관을 썼다. 그리고 흰 버선에 비단신을 신었다. 세운북춤의 무용수들이 입은 원삼이나 쾌자들은 우아한 무용 동작에 어울리게 만들어진 것이었으므로 어깨에는 여러 가지 무늬로 곱게 꾸민 장식이 있었다. 이렇듯 북춤옷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었는데 민간의 장고춤옷은 특별한 장식이 없이 비교적 소박한 것이었으나 궁중에서 추는 여러 북춤의 옷들은 경쾌하고 우아한 북춤 동작에 어울리는 산뜻하고 화려한 것이었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 옷차림풍습의 역사개관
    - 일상옷차림
    - 예복차림
    - 관복차림
    - 무대옷차림
    - 옷감의 색깔 및 무늬
    - 옷짓기와 옷보관 관습
    - 옷차림의 특징과 예절
    - 옷차림의 계승발전
    - 침구관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