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민속공예 > 죽공예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역사개요
죽공예품의 종류
제작방법과 장식
북한지역정보넷 죽공예품의 제작방법과 장식
우리 민족은 죽공예품을 자기들의 민족적 감정과 정서, 취미와 기호, 생활풍습에 맞게 만드는 데서 뛰어난 지혜와 재능을 발휘하였다. 죽공예품은 왕대가 많이 생산된 중남부지방에서 발전하였다. 죽공예품제작에 쓰인 왕대에는 수십가지 종류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서 가장 널리 쓰인 것은 왕죽, 설대, 솜대, 맹종죽, 분죽, 반죽, 오죽, 자죽 등이었다.

왕죽은 높이가 10~20m에 직경이 5~15cm이고 마디사이가 길뿐 아니라 줄기가 곧고 매끈한 왕대이다. 결이 질겨 잘게 쪼개지고 탄성이 강하여 구부리기도 쉬운 우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왕죽은 각종 가구나 문방구, 용기류 제작에 널리 쓰였다. 왕죽이란 말도 그것이 왕대중에서 제일 통이 굵고 큰 왕대라는 뜻과 어떤 대공예품도 다 만들 수 있는 ‘대의 왕’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왕죽은 청죽, 왕대라고도 하였다. 왕죽은 경상도의 양산, 밀양, 울산, 창녕, 안동, 합천, 진주와 전라도의 나주, 강진, 구례, 창평 등지가 대표적인 산지였다.

솜대는 왕죽보다 굵기가 좀 가늘지만 대의 겉면이 깨끗하고 반점이 없어서 농이나 발과 같이 보기에 정갈한 제품을 만드는데 쓰였다. 설대는 키가 2~6m로서 질이 좀 가늘지만 화살대, 퉁소, 대금, 붓대, 바구니, 조리, 담뱃대, 낚싯대, 기타 기구 등을 만드는데 많이 이용되었다. 살대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가 그 주산지였고 강원도의 강릉, 간성, 삼척 등지에서도 재배되었다. 맹종죽은 껍질면이 연하고 굵은 마디가 짧은 필통, 화살통, 수저통, 붓통 등을 만드는데 쓰였다.

분죽은 대의 겉면에 작은 솜털이 있어 분죽이라고 하는데 질이 굳고 얇게 쪼개어지므로 세공품의 제작에 쓰였다. 이밖에 왕대의 겉면에 검은 반점이 있는 반죽, 색이 검은 오죽, 자주빛나는 갈색의 겉면에 무늬가 있는 자죽 등은 주로 세공품을 만들거나 장식재료로 널리 쓰였다.

죽공예품의 제작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었는데 그 하나는 무어 만드는 방법이었고 다른 하나는 엮어 만드는 방법이었다. 왕대를 무어 만드는 방법은 대나무를 쪼개서 옆으로 이어 붙여 만드는 방법인데 여기에는 대의 한마디를 길이로 하여 쪼개어 뭇는 방법과 마디에 관계없이 일정한 길이로 쪼개서 뭇는 방법, 통대를 그대로 뭇는 방법 등이 있었다.

대의 마디를 길이로 하여 쪼개서 뭇는 방법에는 5각, 8각, 꽃형 등 각이한 형태로 뭇는 방법, 대의 윤기있는 바깥면을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서로 다른 색채효과를 나타나게 하여 뭇는 방법들이 있었다. 대나무를 일정한 길이로 쪼개어 뭇는 방법과 통대를 그대로 뭇는 방법은 주로 큰 제품을 만드는데 이용되었으며 대마디를 길이로 하여 토막내어 뭇는 방법은 비교적 작은 제품들을 만드는데 이용되었다.

왕대제품제작의 주되는 방법은 대를 얇고 길게 쪼개어 엮어 만드는 것이었다. 물론 엮어 만드는 방법은 초물, 종이를 비롯한 공예의 여러 형식들에서도 많이 쓰인 제작방법의 하나였다. 그러나 그 어떤 공예형식도 말총이나 왕대를 정교하게 쪼개어 섬세하게 엮은 것과 같은 그러한 세공적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그러므로 엮는 방법은 중세 전 기간 왕대제품의 기존 제작방법으로 전승되어왔다. 죽공예품의 제작방법에는 이밖에 통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구멍을 뚫거나 불에 구부리는 것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도 있었다. 이 방법으로 망건통, 피리, 대금, 담뱃대, 고비와 같은 물건을 만들었다. 죽공예품의 미적 가치를 한결 더 돋우었다. 장식기법에는 염죽법, 낙죽법, 합죽법, 첩죽법, 박죽법, 편죽법, 축조법 등이 있었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 도자기공예
    - 나무공예
    - 금속공예
    - 나전옻칠공예
    - 수예
    - 죽공예
    - 화각공예
    - 돌공예
    - 초물공예
    - 종이공예
    - 기타공예
    - 민속공예의 계승발전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