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농
|
|
|
|
농(또는 장롱)은 옷가지들을 넣어두는 가구이다. 농은 원래 대나무나 싸리채, 버들가지 등으로 엮어만든 고리에서 유래하였다. 고리가 생활에서 유용하게 씌어 오다가 후에는 판자로 짠 궤로 변하였고 궤는 다시 장석으로 견고하게 무어지고 장식되게 되었다. 『산림경제』에 농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18세기에 널리 보급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닫이는 윗널이나 앞면 위쪽을 문으로 하여 아래 위로 여닫게 한 것이다. 반닫이 문은 두껍고 폭넓은 널판으로 짜고 앞면에 금속장식물을 많이 붙여 든든하고 아름다운 외형을 갖추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일부 앞면에 서랍을 몇개 낸 것도 있다.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의 반닫이는 앞면에 붉은 밤색을 칠하고 양옆과 아래 위에 대칭적으로 여러 가지 무늬를 뚫어새긴 시우쇠로 장식한 것이라면 경기도 이남의 반닫이는 백동, 주석으로 장식한 것이 차이나는 점이다. 반닫이농의 명산지는 평안도 박천인데 이곳에서 만든 반닫이는 보통 ‘박천뒤주’라고 하여 널리 쓰였다.
드닫이는 여닫이나 반닫이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뚜껑을 문짝으로 하여 들었다 닫게 한 것인데 함경도지방에서 많이 이용되었다. 여닫이는 앞면 가운데에 두쪽문을 달아 여닫게 한 농으로서 경기도 이남지방에서 많이 쓰였다. 여닫이에는 주석이나 백동으로 만든 나비나 박쥐 모양의 경첩들을 달아 장식을 소박하게 하였다. 똑같은 모양의 여닫이를 두짝 포개어 놓은 것을 2층농이라고 하였는데 이 경우 윗 여닫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농짝 옆널에 들쇠로 아래위를 연결시켜 놓기도 하였다. 농을 오래 쓰는 과정에 반닫이와 여닫이를 결합하여 흔히 농과 장을 결합한 2층농도 발전하였는데 그러한 가구는 보통 아래층은 반닫이로, 위층은 여닫이로 처리되어 있다.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