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민속명절 > 가을철의 민속명절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7월백종
8월추석
중구
북한지역정보넷 8월추석
추석은 음력 8월 15일에 쇠는 민속명절로서 가을철 뿐 아니라 한해 민속명절 가운데서도 가장 크게 쇠는 명절의 하나였다. 추석은 주민들이 풍년농사를 지어놓은 기쁨을 안고 즐기는 날이었고 돌아간 조상들을 위하여 지성을 표시하는 날이었다.

추석이란 가을 저녁이라는 뜻으로서 오곡이 무르익는 좋은 계절인 가을철의 달밝은 보름날을 명절로 즐기는 데로부터 생긴 이름이다. 추석은 계절적으로도 좋은날 이어서 사람들은 예로부터 ‘5월 농부 8월 신선’이라고 말하여 왔다. 이것은 5월은 농부들이 이름 그대로 농사를 잘 짓기 위하여 땀을 흘리면서 등거리가 마를 날이 없이 일하지만 8월은 한해 농사가 다 결실된 때에서 봄철 농사일처럼 힘도 덜 들이고 일을 해도 기쁘고 성수가 나서 신선처럼 지낼 수 있다는 말이며 그만큼 8월 추석 때는 풍요한 시기라는 것이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추석은 이미 삼국시대에 ‘가배날’이라고 하면서 큰 명절로 쇠왔다. 그러나 그 시원은 고대시대까지 소급할 수도 있다. 삼국시대 추석날에 조상의 무덤을 찾아보는 풍습이 있었다. 가야에서는 한해에 다섯 번, 신라에서는 한해에 여섯 번씩 시조무덤의 사당에 제사를 지냈는데 그 가운데는 8월 추석의 제사도 들어 있었다. 삼국시대 8월 보름날에 신라의 왕궁에서는 연회를 차리고 음악을 연주하였으며 관료들의 사격경기도 진행되어 우수한 자들에게는 말이나 천을 상으로 주었다. 이러한 자료들은 우리나라에서 이미 오랜 옛날부터 추석날에 조상무덤을 찾아보며 활쏘기를 비롯한 민속놀이도 하였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가배라는 것은 ‘가위’라는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쓰는 표기법인 이두이다. 추석을 가윗날 또는 한가윗날이라고 하는 말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전해오는 말이다. 가위라는 말은 가을의 중간, 한가위라는 말은 가을의 큰 명절이라는 뜻이다. 위의 자료는 또한 추석이 이미 삼국시대 초기에 근면한 우리 나라 여인들이 7월칠석을 계기로 시작한 길쌈경기와도 관련된 민속명절이었다는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삼국시대 초기에 추석날 조상무덤을 찾아보며 활쏘기경기, 가무놀이 등 유쾌한 민속놀이들을 진행하면서 하루를 즐겁게 보내던 풍습은 먼 훗날에까지 전하여 왔다. 추석은 발해 및 통일신라,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는 오랜 역사적 과정에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큰 민속명절의 하나로 고착 되었다.

추석명절의 첫 의례는 조상의 무덤을 돌아보는 것이었는데 이것을 성묘 또는 산소보기, 뫼보기라고 하였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한해 농사를 다 짓고 가을걷이를 앞둔 8월 추석날에 햇곡식으로 음식을 만들어 가지고 조상들의 무덤을 돌아보는 것을 응당한 도리로, 풍습으로 지켜왔다. 벌초하는 일은 추석 전날에 미리 하기도 하였다. 벌초를 끝낸 다음에는 무덤보기를 하였다. 무덤보기는 조상들의 항렬별, 연령별 순위에 따라 진행하였다. 사람들은 무덤앞의 상석 위에 제물을 차려놓고 술을 부으며 엎드려 큰절을 하였다.

추석명절을 뜻깊고 즐겁게 보내기 위하여 우선 명절 전날 음식준비를 잘 하였다. 추석명절에 만드는 독특한 민족음식으로는 햇곡식으로 만든 술과 시루떡, 인절미, 밤단자 등이 있었다. 술로는 청주를 흔히 만들었는데 찹쌀술을 으뜸으로 쳤다. 추석에는 찰떡도 만들었지만 송편은 이날에 빠져서는 안되는 떡이었다. 5월 단오라면 쑥떡을 생각하듯이 8월 추석이라면 의례히 송편을 생각할 만큼 그것은 추석을 상징하는 음식이었다. 이때의 송편에는 햇콩, 참깨, 밤, 대추 같은 것을 속으로 넣었다. 시루떡에는 흔히 무나 호박 오가리를 넣었으며 인절미(잡아당겨서야 끊어지는 떡이라는 뜻: 흰찹쌀로 만든 찰떡)에는 콩가루, 깨소금 같은 것을 묻히었다. 우리나라에서 인절미로서 이름난 고장은 연안, 배천 일대이다. 그것은 이 고장에서 나는 찹쌀이 차지고 맛이 좋기 때문이었다. 밤단자는 율단자라고도 하는데 찹쌀가루를 쪄서 달걀처럼 둥글게 만들어 삶은 밤을 꿀에 개어 고물로 한 것이다. 이것은 밤고장에서 흔히 만들어 먹었다.

평양지방에서는 특산음식으로 노치를 만들어 먹었다. 노치는 찹쌀가루와 엿길금가루를 반죽하여 기름에 지진 것이다. 이 노치는 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아 민족과자로서 높이 자랑할만한 것이었다. 추석때의 과일로서는 밤, 대추, 감, 배 등이 있었다. 이러한 맛있고 특색있는 음식들과 과일들은 추석 전날에 다 갖추어 놓았다가 우선 제물로 쓴 다음 나누어 먹으며 명절을 즐겁게 보내었다.

추석명절에는 여러 가지 민속놀이로 즐기었다. 추석날의 민속놀이로는 여성들의 그네뛰기, 남성들의 씨름이 첫자리를 차지하였다. 곳에 따라 밧줄당기기, 소놀이, 거북이놀이, 강강수월래, 길쌈놀이도 하였다. 그네뛰기와 씨름은 단옷날과 마찬가지로 고을이나 마을 단위로 황소나 그밖의 물건을 걸어놓고 경기를 크게 조직하였다. 추석에 밧줄당기기를 하는 곳도 적지 않았는데 강원도의 고성, 양구, 경기의 양평, 충청도의 아산, 전라도의 옥구, 경상도의 양산을 비롯한 여러 지방에서 하였다.

추석날의 특이한 생활관습의 하나로서 ‘중로보기’가 있었다. 중로보기란 말 그대로 길 중간에서 만나본다는 것으로서 딸과 친정어머니 또는 안사돈끼리 두집 사이의 길 중간에서 만나보는 것이었다. 추석이 가까워오면 사돈집에 미리 연락하여 추석날에 오가는 길의 중간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다. 추석날이 되면 시집에서는 며느리에게 떡과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주어 친정으로 가는 길 중간에서 친정어머니를 만나게 하였다. 오래 간 만에 서로 만난 딸과 친정어머니는 그사이에 있었던 이야기를 나누고 음식을 먹으면서 하루를 즐겼다. 일부 지방에서는 사돈끼리 만나 즐기며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였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 민속명절의 역사개관
    - 정초의 민속명절
    - 봄철의 민속명절
    - 여름철의 민속명절
    - 가을철의 민속명절
    - 겨울철의 민속명절
    - 민족명절의 특성
    - 민속명절의 계승발전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