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삼질(음력 3월 3일)은 들놀이를 하면서 꽃지짐을 지져먹는 화전놀이를 하는 날이었다. 이날을 기록들에서는 ‘상사’, ‘답청절’으로 전하며 민간에서는 ‘삼짇날’이라고 하였고 화전놀이를 ‘꽃다림’이라고도 하였다. 이날을 민속명절로 정한 것은 산과 들에 꽃이 만발하는 봄을 즐기기 위한 것이었다.
고구려에서는 3월삼질날을 독특하게 쇠었다. 해마다 3월 3일이 되면 많은 사람들과 5부의 병사들이 낙랑언덕에 모여 사냥을 하여 잡은 멧돼지, 사슴을 놓고 하늘과 산천에 제사를 지냈다. 고구려사람들은 이런 행사를 몇 해만에 이따금씩 특별한 기회에만 마련한 것이 아니라 해마다 정기적인 민속명절행사로 진행하였다. 이날에 사냥경기를 조직하여 무술겨루기를 하였으며 여기에서 우수한 사람들을 선발하여 등용하였다. 세상에 잘 알려진 고구려의 온달이 왕궁에서 뛰쳐나온 평강왕의 공주와 짝을 맺고 그의 도움으로 무술을 연마한 다음 이 사냥경기에 참가하여 솜씨를 보여 장수로 뽑힌 것도 바로 삼월삼짇날이었다.
고구려와 신라에서의 3월삼질맞이는 모두 들놀이었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신라에서의 3월삼질맞이는 고구려와는 다소 달랐다. 신라에서는 같은 들놀이이나 후세의 화전놀이와 같이 골짜기의 시냇가에 모여앉아 음식을 나누어먹는 것으로 그치었다.★
전통적으로 굳어진 3월삼질맞이 풍습은 다음과 같다. 3월삼질은 중구(9월 9일)에 강남갔던 제비가 다시 옛집으로 찾아온다는 호시절인 춘삼월에 드는 명절이다. 사람들은 삼월삼질이 오면 식구들을 데리고 종다리들이 우짖고 아지랑이가 가물가물 피어오르는 산과 들로 나갔다. 집안식구끼리 혹은 가까운 사람들끼리 모여 하루를 꽃지짐을 지지거나 화면(꽃국수)을 만들어 먹으며 즐겼다. 진달래꽃지짐은 꽃을 뜯어다가 쌀가루에 반죽하고 참기름을 발라 지져먹는 것인데 이것을 화전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꽃지짐을 지져먹는 들놀이를 화전놀이라고 하였다. 이밖에 삼짇날에 특별음식으로 녹두지짐과 화면을 먹으며 명절을 쇠였다. 녹두지짐은 녹두가루를 반죽하여 지짐을 지져 가늘게 썰어 꿀을 바르고 잣을 박아 먹었다. 또한 화면 혹은 수면이라고 하여 진달래꽃을 뜯어다 녹두가루에 넣어 칼국수를 만들어 오미자국이나 꿀물에 말아서 국수같이 먹기도 하였다.
이날 남자들은 자연풍경을 주제로 하여 시를 지어 읊거나 노래를 짓기도 하였다. 여자들은 들에 나가 음식준비를 하면서 머리를 감았다. 이날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소담해지고 기름기가 돈다고 하였다. 어린이들은 그들대로 여러 가지 꽃과 풀들을 꺾거나 뽑아다가 풀싸움을 하였다. 그들은 뜯어온 풀을 하나씩 서로 엇걸어 잡아당겨 어느 것이 끊어지는가를 겨루기도 하고 꽃과 풀의 이름대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봄철의 하루를 꽃지짐을 지져 먹으며 산과 들에 만발한 봄날을 즐기며 노는 것이 3월삼질맞이었다. 이날의 놀이는 봄날의 향취를 마음껏 즐기는 것으로서 정서적이며 문화적인 것이었다. 이것은 물론 생활상 여유가 있고 유족한 계층들이 주로 즐긴 명절이었다. 3월삼짇날에 반드시 하는 것은 아니나 3월이 활쏘기 계절이어서 이때부터 한달 동안 전국도처에서 활쏘기경기가 진행되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