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주택생활풍습 > 집짓기풍습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집터 선택
재목마르기와 조립
벽체의 형식과 만들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주제선택 북한지역정보넷
* 조회 할 분류명을 선택 하십시오.
북한지역정보넷 토벽
토벽은 우리나라 주택에 가장 보편적인 벽체였다. 토벽에는 산자를 엮은 것, 둑으로 된 것 등이 있었다. 산자를 엮은 벽은 엮은 산자에 흙을 바른 것으로서 흔히 산자벽이라고 하였다. 산자벽은 우선 하방과 중방, 중방과 도리 사이에 몇 개의 간주를 세우고 그 간주 사이에 약 50cm간격으로 가느다란 장대기를 끼우고 그에 의지해서 수숫대 또는 나뭇가지, 겨릅대를 대고 새끼 또는 칡넝쿨로 가로 엮어 골고루 만들었다. 이것을 산자엮기 또는 외엮기라고도 하였다.

산자엮기는 이웃에서는 물론 동리사람들도 스스로 찾아와 도와주는 것이 풍습으로 되어 있었다. 산자엮기가 끝나면 차진 진흙을 안팎으로 바르는데 돌이 섞이지 않도록 채로 쳐낸 뒤에 물을 치면서 이겼다. 진흙은 마르면서 수축하기 때문에 마르면 갈라지면서 튼다. 이것을 막기 위하여 진흙에 짚이나 새초를 잘게(약 5~6cm정도) 썰어넣어 골고루 섞어 잘 이겼다. 그 흙을 가래나 삽으로 흙받이에 담아서 흙손으로 산자에 힘을 주어 바르면 흙이 산자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면서 잘 붙었다. 이렇게 하여 산자엮음이 보이지 않도록 바르는데 이것을 초벽이라고 하였다.

초벽은 한쪽 면부터 시작하는데 먼저 바른 흙이 어느 정도 말랐을 때 맞벽을 쳤다. 맞벽을 하여 초벽이 끝나면 나무로 만든 흙손으로 벽면을 골고루 문질러 평면을 보장하였다. 초벽위에 다시 흙을 덧바르는데 그것을 사벽이라고 하였으며 사벽에 쓰는 흙은 진흙보다 점착력이 약한 진흙에 가는 모래를 섞어 이긴 것이다. 사벽은 두 번씩 거듭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재사벽이라고도 하였다. 재사벽은 흔히 석회미장을 하는 것이 풍습화되어 있었다.

산자벽에는 위에서 본 것과는 좀 다른 형태도 있었는데 그것은 벽담이라는 흉벽이었다. 벽담은 원래 벽체의 바깥 면에 흙과 돌, 또는 벽돌로써 담을 쌓는 것으로서 지면에서 약 150cm정도까지의 전체 바깥벽면을 돌아가면서 쌓았다. 벽담은 모양있게 쌓을 뿐 아니라 돌과 돌 사이, 벽돌과 벽돌 사이를 반드시 횟가루로 곱게 바르므로 더욱 아름답게 보였다. 벽담을 쌓는 풍습은 개성지구를 비롯하여 경기도지방에 널리 보급되었다.
19세기의 그림 ‘강화도행렬도’에 그려져 있는 대부분의 집들이 벽담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보아 강화도일대에도 그러한 풍습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벽담은 개성, 철원을 연결한 계선 이북으로 가면서 점차 그의 높이가 낮아지며 또 벽체의 일부(부엌부분)에 축조되다가 점차 없어진다. 벽담은 벽체의 견고성을 보장하며 외관을 아름답게 치장하고 살림집의 품위를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이바지하였다.

토벽의 한 형식으로서 둑벽은 흙으로만 다져쌓은 벽체이다. 둑벽으로 된 집을 둑집이라고 하였다. 둑벽을 만드는 방법은 벽체가 위치할 곳에 30~40cm정도의 폭으로 공간이 나게 거푸집을 대고 그 안에 진흙을 넣고 다져서 만들었다. 이것을 평안도에서는 ‘둑벽을 친다’고 하였다. 둑벽인 경우에 문이 설치되는 앞부분 벽만은 문틀과 중방을 들이고 산자벽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둑벽에는 보통 문을 내지 않았다. 둑집벽체에는 ‘지붕날개’ 또는 ‘풍우날개’로써 보호하였다.

‘둑집’의 벽체를 축조할 때에는 이웃사람들이 스스로 돕는데 서로 힘을 합쳐 단 하루 동안에 둑벽치기를 끝냈다. 이것은 집짓기에서 이웃이 서로 돕는 전통적인 미풍의 발현이었다. 둑집은 주로 우리나라의 서북부 해안일대에 많았다. 이 일대에서는 기둥을 비롯한 집재목을 마련하기가 어려운데 기인한 것이었다. 둑집은 자재와 비용이 적게 들고 누구나 쉽게 지을 수 있었으며 겨울에는 다른 벽체에 비하여 찬 기운을 막고 여름철에는 서늘한 것이 다른 집보다 좋은 점이었다.

둑벽은 고대시대의 반움집 벽체를 지상가옥의 벽체로 발전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둑벽은 산자벽이 발생하기 이전에 있은 것으로서 토벽 가운데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벽체형식으로 인정된다. 둑벽은 산자벽이 발전하고 창과 문을 벽체에 많이 내게 되면서 점차 없어졌다.

토벽의 한 형식으로서 ‘껑지벽’이 있었다. ‘껑지벽’은 평안도 평야지대의 주택들에서 흔히 볼수 있었다(껑지는 섞음을 넣은 흙뭉치이다). 껑지벽은 기둥 사이에 하방과 중방을 건너지르고 거기에 간주를 세운 다음 흙뭉치를 하방 위에 나란히 놓고 안팎에 수숫대나 갈대(2~3대)로 흙뭉치를 감싸서 대고 간주에 의지해서 묶는다. 이런 방법으로 벽체를 쌓아 올리는 데 이것이 산자벽에서 초벽과 같은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껑지벽 쌓기에서 초벽이 끝난 다음 공정은 산자벽과 같다.‘껑지벽’은 벽체의 중심에 흙을 쌓고 그 겉면에 오리대를 대고 묶는 것으로 보아 둑벽과 산자벽의 합리적인 점들이 결합된 벽체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 주택생활의 역사개관
    - 집짓기풍습
    - 주택의 유형과 형태
    - 주택의 이용과 갖춤새
    - 살림집 손질과 예절
    - 주택생활의 계승발전
    - 마을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