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시대에 옷차림의 민족적 특성이 확연하게 표현되었다. 우리의 민족옷은 아래옷과 웃옷이 갈라진 투피스를 기본 옷으로 하고 남녀의 기본 옷차림이 아래옷과 웃옷, 겉옷, 머리쓰개와 신발, 치렛거리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개별적인 저고리나 치마, 겉옷, 머리쓰개 등의 형태에서는 다른 민족의상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징을 짙게 가지게 되었다.
옷차림이 간편하고 활동적인 것으로 발전하였다. 남자는 바지에 저고리를 입고 머리에 꼭맞는 머릿수건이나 절풍 등의 머리쓰개를 썼으며 허리띠를 단단히 맨 외에 행전도 치고 토시도 낌으로써 옷차림을 가뜬하게 하였다. 여자들도 경우에 따라 몸에 맞는 바지에 저고리를 입고 허리띠를 맨 옷차림을 할 수 있었으며 또 치마를 입는 경우에도 노동과 생활에 편리한 주름치마를 널리 입음으로써 옷차림을 간편하게 하였다. 이러한 남녀 옷차림은 중세 우리나라 민족옷차림 가운데서 가장 활동적인 차림이었다. 상제례옷차림과 관복차림, 무대의상차림 등이 이전 시대의 것을 이어 더욱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옷차림에 계급신분제도가 강하게 반영되어 옷차림 전반에 걸쳐 계급신분적 차이가 이전보다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봉건정부는 옷의 종류와 재료, 색깔과 무늬에서부터 머리쓰개, 신발, 허리띠, 치렛거리 등에 이르기까지 계급신분적인 구별을 법적으로 엄격히 규정하였다. 이때에 와서 왕의 ‘권위’를 절대화하기 위하여 그 나라에서 오직 군주 한 사람만이 입는 곤룡포와 같은 특수한 옷도 만들어졌다. 그리하여 통치자들의 옷차림은 날이 갈수록 사치해지면서 허식적인 요소들이 늘어났으나 일반 백성들은 자기 신분에 한정된 종류와 색깔, 재료로 된 옷만 입을 수 있었으며 겨울에도 베와 짐승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지 않으면 안되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