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금강산
묘향산
구월산
칠보산
통합검색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백두산 > 자연 > 토양
UCI :
G001+KR00-IPA.081208.D0.TAD010200230360
스크랩주소 :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FiveGreatMountainDetail.aspx?mc=M10207&selMT=M101&id=AD010200230360&rightType=2&direct=1
내부조회수 :
991
/ 외부조회수 :
0
스크랩수 :
0
백두산 토양
카테고리 :
백두산
주제 :
자연
분류 :
토양
백두산
백두산지구의 토양은 제3기 말~제4기 초에 지각변동과 화산활동, 지형변화 등이 일어난 다음 제4기 상세말 이후 주로 기후변동에 따르는 식물피복의 교체와 관련하여 오랜 시기를 거쳐 진화 발전되어왔다. 백두산지구는 고산지대로서 건조하고 한랭한 겨울과 습윤한 여름철 기후차이가 심하다.
또한 식물피복에는 호온성열대기온의 식물과 북극고산기원식물, 아한대성북방계통식물들이 섞여 있다. 토양유형들은 여러 해 동결층의 영향과 한랭한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토양, 평탄한 현무암대지의 과습조건에서 형성된 토양과 수평대성을 띤 표백화갈색토양 등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지구의 복잡한 식물구성과 토양분포는 제4기 상세 이후 급변된 고기후변동과 화산활동 등 지질학적 사변의 결과로 생겨났다.
백두산지구에서 자연환경변화와 토양형성시기는 네 개의 역사적 단계로 구분된다. 제1단계는 산악빙하에 의한 산림한계선의 하강과 고산토양형성단계이고 제2단계는 마감빙하기로부터 시작하여 후빙기의 온화한 기후조건에서 산림식물대와 토양유형들의 순간적 교체단계이며 제3단계는 부석분출에 의한 이전 식물과 토양의 매몰단계이며 제4단계는 현대식물과 부석층토양을 포함한 현대토양의 최종적인 완성단계이다.
백두산 일대의 토양유형은 고산토양, 부석층토양, 표백성토양, 표백화갈색토양, 갈색토양, 이탄토양, 기타토양으로 되어 있다. 고산토양은 산림한계선의 수직대, 아한대 기후조건에서 태선식물, 지의류, 고산초본식물에 피복된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고산토양은 부석층에 발달한 고산동결층토양과 부석층에 발달한 고산초원토양으로 구분된다. 부석층토양은 부석층을 모암으로 하여 발달한 화산기원의 토양으로서 다른 토양에 비하여 표층에 부석함량이 높은 검은색 또는 암회색 층이 뚜렷한 경계를 지으면서 놓여 있다. 부석층토양은 두꺼운 부석층토양, 보통부석층토양, 얇은부석층토양, 부석질표백화갈색토양으로 구분된다.
표백성토양은 고산초본대 아래에 위치한 저목림대에 발달되어 있다. 표백화갈색토양은 평탄한 용암대지에서 현무암이 풍화된 불투성점토 위에 발달되어 있다. 갈색토양은 암갈색토양과 갈색토양으로, 이탄토양은 고위이탄토양과 저위이탄토양으로, 기타토양은 충적토과 암설토양으로 나눈다. 이밖에 백두산지구의 토양유형에는 부석층밭토양과 표백화갈색밭토양, 논토양이 있다. 백두산지구의 자연토양유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종합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다.
조사 연구된 자료에 의하면 암설토양, 고산동결층토양, 부석층에 묻힌 암회색변성점토질토양으로 구분되고 있다. 암설토양은 다시 고산암설토양, 각력암설토양, 돌자갈암설토양, 암반박층토양으로 구분되어 있다.
선택해주세요
재외동포재단
중앙일보북한네트워크
한국정보화진흥원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저작권정책
개인정보보호정책
위치 및 연락처
관리자에게
배너및뷰어
[우]122-834 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161-5 역촌빌딩 5층 TEL: (02)358-0612~5 FAX: (02)384-1924
Copyrightⓒ 2008 by 평화문제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개관
-
지명유래
-
역사
-
교통
자연
-
지질
-
지형
-
기후
-
수문
-
동물
-
식물
-
토양
-
산과내
-
야생특산식물
-
천연기념물
-
자연보건자원
-
희귀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