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함경북도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자연
함경북도는 경제발전과 주민생활에 유리한 자연조건과 풍부한 지하자원, 임산자원, 수산자원, 수력자원을 가지고 있다.

1. 지형
함경북도는 전체 면적의 90% 이상이 산지로서 전반적으로 지대가 높고 평야가 적은 지역이다. 산지는 동해와 두만강 연안에까지 접근해 있다. 함경북도의 평균높이는 618m로서 북한 평균높이보다 183m나 더 높다. 함경북도의 중앙으로는 북한에서 가장 높고 험준한 산맥의 하나인 함경산맥(咸鏡山脈)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 지맥들인 칠보산맥(七寶山脈), 백동산맥(栢洞山脈), 송진산맥(松眞山脈), 가라지봉산맥(加羅支峰山脈), 민봉산맥(閔峰山脈), 철근령산맥(鐵芹嶺山脈)을 비롯하여 규모가 작은 산맥들이 뻗어 있다.

칠보산맥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맥들은 함경산맥과 거의 직각으로 달리고 있다. 함경산맥에는 백두산 버금으로 가는 관모봉(冠帽峰, 2,540m), 궤상봉(櫃床峯, 2,332m), 궤산봉(机山峯, 2,272m), 투구봉(2,333m), 도정산(道頂山, 2,200m), 만탑산(萬塔山, 2,205m)을 비롯하여 해발 2,000m 이상의 험준한 산들이 10여 개나 솟아 있다. 함경산맥을 경계로 그 북서부 지역은 경사가 완만한 무산고원을 형성하고 있다. 연사군, 무산군 일대에 전개되어 있는 이 고원은 평균높이가 1,050m이며 형성초기에 비교적 넓은 준평원으로 되어있었는데, 그 후 하천들의 침식작용에 의하여 깊은 골짜기들이 많이 이루어져 일명 개석고원이라고도 한다.

함경산맥의 앞산지대인 동쪽사면은 급경사를 이룬 산지로 되어 있는데 계단상으로 낮아지면서 동해안까지 뻗어 있다. 수성천(輸城川)과 회령천(會寧川)을 경계로 하는 그 동부 지역은 평균해발 400m 안팎의 산지로 되어 있으며 하천에 의한 침식작용이 심하지 않고 대체로 구릉성 산지로 되어 있다. 함경북도에는 회령분지(會寧盆地), 은덕분지(恩德盆地) 등 분지지형이 있으며 이밖에 화산지형이 여러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함경북도의 남부 명천군(明川郡)을 중심으로 솟아 있는 칠보산(七寶山)이다. 칠보산은 백두산에서 울릉도에 이르는 백두화산대의 한 부분으로서 주로 신생대 제3기 분출암으로 되어 있으며 뛰어난 산악경관과 해상경관으로 하여 예로부터 동해안의 명산으로 알려졌다.

함경북도 남부에는 화산지형으로서 염기성 용암이 충적되어 형성된 덕땅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비교적 큰 덕땅으로 어랑군(漁郞郡)의 어랑덕, 봉강덕, 지방덕, 화성군(化城郡)의 장덕, 화대군(花臺郡)의 마유덕, 명천군의 재덕, 다호평덕, 사기덕, 길주군의 장덕 등이 있다. 이런 덕땅들은 대체로 해발 100~200m의 평균높이에 표면은 2~5°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변두리는 벼랑으로 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풍화층이 두텁게 덮여 있고 곳곳에 물곬이 이루어져 있다. 현재 이 덕땅의 대부분이 농경지와 과수밭으로 개간되어 있다. 평야 지형은 주로 하천들의 하류연안과 해안일대에 이루어져 있다. 주요 평야는 두만강 하류연안의 온성벌(60㎢), 새별벌(100㎢), 은덕벌(60㎢), 해안에 형성된 수성벌(90㎢), 어랑벌(130㎢), 길주벌(150㎢), 임명벌(60㎢) 등이다.

바다에 면한 평야들은 해안선과 사귀는 산지들에 의하여 연속되지 못하고 단절되었고 평야 윗쪽이 좁고 아랫쪽으로 내려오면서 점차 넓어져 쐐기모양으로 되어 있다. 함경북도의 해안지형은 비교적 단조롭다. 해안선의 길이는 449.3km(섬 제외)이며 해안에는 고말산단(高抹山端), 어랑단(漁郞端), 무수단(舞水端)과 같은 돌출부들이 있으며 어랑단으로부터 무수단 사이는 해안절벽을 이룬 곳이 많다. 앞바다에는 30여 개의 섬이 있다. 비교적 큰 섬은 화대군의 양도․강후이도, 청진시의 쌍도이다.

2. 지질과 지하자원
함경북도에는 하부원생대로부터 신생대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지질시대에 이루어진 퇴적암, 관입암, 변성암들이 분포되어 있다. 함경북도의 층서는 하단으로부터 마천령계(摩天嶺系), 두만계(豆滿系), 대동계(大同系), 대보계(大宝系), 함경계(咸鏡系), 칠보산층군(七寶山層群), 제4기층으로 되어 있다. 지질구성이 다양한 함경북도에는 철, 니켈, 동, 금, 크롬, 은, 납, 텅스텐 등 금속광물과 석회석, 운모, 고령토, 월장석, 강옥, 황옥 같은 보석광물, 석탄, 이탄을 비롯한 연료자원이 풍부하다. 철광은 주로 무산, 김책시의 상평․청학, 청진시의 철석봉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특히 무산일대에는 북한에서 이름난 무산철광이 있다. 석탄은 온성, 회령, 새별, 은덕 일대와 경성, 화성, 명천, 길주, 김책 일대에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다. 석회석은 청진시의 청암구역 금바위동과 부령군의 무수와 고무산 일대에, 대리석은 김책시 장현동에, 고령토와 팽윤토는 경성군 생기령과 회령시 유선일대에, 니켈은 청진시 부윤구역에, 보석광물은 청진시 청암구역 교원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3. 기후
함경북도 북한에서 가장 높은 위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가 높고 바다에 면해 있어 다른 도에 비하여 기온이 낮고 서리가 일찍 내리며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다. 연평균기온은 6.4℃이며 남부에서 북쪽으로, 바닷가에서 내륙 쪽으로 들어가면서 점차 낮아진다. 연평균기온은 함경북도에서 가장 더운 지방으로 알려진 김책에서 8.4℃이고, 북부 온성에서 5.5℃, 바다에 면한 청진에서 7.6℃이며, 함경북도에서 가장 추운 곳으로 알려진 내륙지방인 연사에서 3.6℃이다. 1월 평균기온은 -8.2℃이며 김책에서 -5.3℃, 온성에서 -13℃, 청진에서 -6.7℃, 연사에서 -15.5℃이다. 기온이 가장 높은 달은 대부분 지방에서 8월이며 내륙고산지대에서는 7월이다. 7~8월평균기온은 21~22℃이다. 7월 평균기온은 김책, 길주, 화대에서 22℃, 은덕, 새별, 온성에서 21℃이다. 최고극기온은 1977년 7월 30일 회령에서 40.5℃였다. 같은 날 김책에서 36.9℃, 명천에서 37.4℃, 무산에서 37.3℃로서 매우 높은 기온이 관측되었다.

회령에서 나타난 기온은 북한 여름철 기온관측 역사에서 가장 높은 기온으로 된다. 최저극기온은 1956년 1월 22일 회령에서 -35.6℃, 1977년 12월 연사에서 -34.4℃, 무산에서 -30.6℃였다. 함경북도의 적산온도는 지역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5℃이상 적산온도는 온성에서 3,090℃, 연사에서 2,700℃, 무산에서 3,016℃, 청진에서 3,160℃, 김책에서 3,320℃이며 10℃이상 적산온도는 온성에서 2,780℃, 연사에서 2,420℃, 무산에서 2,723℃, 청진에서 2,810℃, 김책에서 2,940℃이다. 연평균일조율은 55%이다. 일조율이 높은 지방은 회령, 무산, 부령 등 북부 내륙지방과 북동부 내륙지대 그리고 서부 고산지대로서 함경북도에서 연일조율은 평균 55~58%이며 일조율이 낮은 지역은 동해연안의 청진, 경성, 어랑 일대이다.

일조율이 가장 낮은 시기는 6월과 7월로서 이 시기 북부내륙지대에서는 31~46%, 해안지방에서는 31~40%의 일조율을 보이고 있다. 연평균강수량은 500~800mm이다. 강수량이 많은 지역은 함경산맥의 동쪽사면에 면한 청진, 어랑, 경성 일대와 칠보산 동쪽 명천군 보천리 일대로서 연평균강수량이 700~800mm에 이른다. 강수량이 적은 지역은 회령, 온성, 새별, 무산, 연사 지역을 비롯한 두만강 연안의 내륙지방으로서 연평균강수량은 500mm 정도이다. 함경북도는 북한에서 바람이 세차며 그 횟수가 높은 지역으로 연평균풍속은 2.7m/s이다. 연중 바람이 가장 세차게 부는 1월에 은덕에서 3.9m/s, 새별에서 4.6m/s이다.

함경북도는 북한에서 안개가 많은 지역에 속하는데 특히 동해연안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안개는 봄~여름 기간에 자주 나타나는데 특히 6~7월 사이에 심하다. 이 시기의 안개일수는 연안개일수의 50~65%를 차지한다. 안개일수는 북부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가면서 적어지고 또한 내륙 쪽으로 들어가면서 적어진다. 지역별로 보면 남부와 중부 해안지방에서 40~50일, 회령․은덕 등지에서 20~30일이며, 무산․연사 등지는 2일 정도로서 함경북도에서 가장 적다. 안개가 자주 나타나는 시기에 기온이 낮아지고 날씨가 흐리면서 이슬비가 내려 농작물의 성장에 불리한 냉해현상이 나타난다.

함경북도에서 첫서리는 기온이 가장 낮은 연사에서 9월 23일, 북부 및 북동부 지역에서 10월 1~7일 사이에, 중부 및 남부 해안지방에서 10월 9~20일에 내린다. 마감서리는 남부 및 중부 해안지방에서 4월 20일, 북부 및 북동부 지역에서 5월 5일, 연사 지방에서 5월 16일 경에 내린다. 그밖의 지역에서는 5월 1일부터 5일 사이에 내린다. 겨울 동토의 깊이는 44~100㎝ 정도인데, 연사 지방에서 100㎝에 이르고 김책 지방에서 44㎝ 정도 된다.

4. 수문
함경북도에는 북부와 북동부 변두리를 따라 흐르는 두만강(豆滿江)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강하천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대체적으로 함경산맥을 분수령으로 하여 두만강에 유입되는 강하천들과 동해에 유입되는 강하천으로 분류된다. 두만강에 유입되는 강하천은 연면수(延面水), 성천수(城川水), 용천천(龍川川), 보을천(甫乙川), 회령천(會寧川), 팔을천(八乙川), 오룡천(五龍川), 회암천(灰岩川) 등이 있는데 이 하천들은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 흐르지만 유역 면적이 넓고 유역 일대의 산림피복률이 양호한 것으로 하여 유량(流量)이 많다.

동해에 유입되는 강하천은 수성천(輸城川), 남석천(南夕川), 나북천(羅北川), 오촌천(梧村川), 온포천(溫堡川), 주북천(朱北川), 주남천(朱南川), 임명천(臨溟川), 어랑천(漁郞川), 보촌천(甫村川), 화대천(花臺川), 길주남대천(吉州南大川), 쌍포천(雙浦川) 등이 있는데, 이 하천들은 두만강에 유입되는 강하천들에 비하여 길이가 비교적 짧고 물흐름이 급하며 상류와 중류지역에서 심한 침식현상을 보이고 있다. 함경북도에는 20여 개의 저수지와 자연호수가 있다. 저수지 가운데서 규모가 비교적 큰 저수지로는 김책시의 송흥청년저수지, 길주군의 문암저수지, 등치골저수지, 덕신저수지, 화대군의 화평저수지, 주의저수지, 토원저수지, 명천군의 판령저수지, 화성군의 용산저수지, 무산군의 마양저수지, 온천저수지, 연사군의 신양저수지, 회령시의 창효저수지, 장덕저수지, 온성군의 용남저수지, 새별군의 성내저수지 등이 있는데 이 저수지들은 관개용수, 담수양어, 전력생산에 이용된다.

그중 무산군과 연사군의 저수지는 전력생산에 비중 있게 이용되고 있다. 자연호수에서 대표적인 것은 어랑군의 장연호(長淵湖)와 무계호(武溪湖)이고 이밖에 청진시 청암구역 관해에 번포(樊浦), 용제에 동호(東湖), 마전에 남호(南湖)와 용두호(龍頭湖)가 있다. 함경북도에는 20여 개의 온천과 약수가 있다. 청진시에는 판장온천․용천온천, 김책시에는 세천온천․송흥온천․삼로온천, 회령시에는 중봉약수, 길주군에는 온수평온천․금송온천․십일온천, 명천군에는 양정온천․만호온천․보촌온천․다호온천․황진온천․황진약수․사리온천, 경성군에는 경성온천․온포온천․관모(성정)온천․보상온천, 어랑군에는 돌수온천, 부령군에는 팔담온천, 온성군에는 종성약수가 있다.

5. 식물과 동물
함경북도 지역에는 저지대의 식물로부터 고산지대의 식물에 이르기까지 다종다양한 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다. 임야는 해발 400~1,500m 사이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그 면적은 함경북도도 임야면적의 87%이며 해발 2,000m 이상에 분포된 임야는 도 임야면적의 2%에 불과하다. 침엽수는 소나무, 잎갈나무, 전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등이 기본수종을 이루고 있으며 활엽수는 참나무, 자작나무, 사시나무, 가래나무, 사스래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등이 기본수종을 이루고 있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수평 및 수직대성을 띠면서 분포되어 있다.

해발 400m 이하의 야산과 구릉성산지들에는 소나무가 지배수종으로 되여 있으며 그 이상에서는 참나무를 비롯한 활엽수림, 아한대성 침엽수림 순서로 분포되어 있다. 참나무숲은 주로 해발 400~800m 범위에서 단순림 또는 소나무와 혼성림을 이루며 물푸레나무, 박달나무, 단풍나무 등 활엽수는 해발 1,000~1,300m의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연사군, 무산군을 비롯하여 해발 1,000m 이상 되는 산지에는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산림한계선을 벗어난 해발 2,200m 이상 되는 높은 산지에서는 자작나무, 가문비나무 등이 떨기나무형태로 자라며 여기에는 만병초, 장군풀, 곱향나무, 백산차, 눈잣나무 등 고산식물이 자란다.

산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연사군, 무산군, 회령시, 부령군 일대와 길주군, 김책시의 내륙지대이다. 특히 연사군과 무산군에는 경제적 가치가 높은 잎갈나무, 분비나무, 사스레나무가 매우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함경북도 지역에는 머루, 다래, 돌배를 비롯한 산과일과 장군풀, 황기, 오미자를 비롯한 약재자원이 풍부할 뿐 아니라 송이버섯을 비롯하여 수십 종의 식용버섯과 영양가가 높은 산나물이 많이 자라고 있다. 송이버섯은 명천군의 칠보산 일대와 어랑군, 경성군, 부령군 일대의 소나무숲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산나물 가운데서 기본은 고사리인데 그것은 함경북도 지역의 모든 시, 군에 다 있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어랑군의 무계리, 화대군의 목진리, 증산리, 무산군의 오봉리, 임강리 일대에 많이 자라고 있다.

화대군의 목진리에는 넓은 면적의 고사리밭이 이루어져 있다. 함경북도에는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현재까지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짐승류는 50여 종, 조류는 240여 종이다. 높고 깊은 산 속에는 누렁이, 검은담비, 사슴, 사향노루, 곰과 같은 짐승들과 북꿩, 들꿩, 세가락딱따구리, 개미잡이, 잣까마귀와 같은 조류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관모봉 일대에는 북한 북부 고산지대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큰곰, 곰두더지, 쥐토끼와 같은 희귀종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하천들과 호수들에는 일상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어류들과 연어, 송어, 칠성장어, 황어와 같은 민물고기들도 있다. 두만강, 연면수, 서두수, 수성천, 온포천 등 큰 하천들의 상류에는 산천어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6. 토양
함경북도 지역에는 고산습초원토양을 비롯한 수직대성토양들과 수평대성토양인 갈색산림토양, 여러 차례에 걸쳐 백두산의 화산분출로 하여 생긴 경석층토양, 바닷자리에 생긴 진펄토양, 하천연안에 발달한 충적토, 사람들의 생산활동의 결과에 이루어진 논토양 등 각이한 토양유형들이 분포되어 있다. 고산습초원토양은 관모봉, 설령, 투구봉, 궤상봉, 궤산봉을 비롯한 산림한계선을 벗어난 해발 2,200m 이상의 높은 산정 부근에 점상(點狀)으로 분포되어 있다. 표백성토양은 고산습초원토양이 분포된 아래지역에,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은 고산습초원토양과 표백성토양이 분포된 아래지역 즉 갈색산림토양으로부터 표백성토양으로 이행하는 해발 800~1,000m로부터 1,600m의 점이(漸移)적 지대에 분포되어 있는 토양으로서 함경산맥을 중심으로 하여 내륙고원지대인 연사군, 무산군과 회령시의 일부 지역, 부령군, 경성군, 길주군, 김책시의 고산지대에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갈색산림토양은 충적토, 논토양, 진펄토양이 전개되어 있는 지역을 제외한 모든 곳에 분포되어 있다. 경석층토양은 연사군의 대부분 지역과 무산군의 일부 지역, 경성군의 산간지대에 국부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그 두께는 지형조건과 지대에 따라 각이한데, 연사군의 삼포리, 석수리, 광양리 등 지역에서는 30~40㎝ 정도로 비교적 두텁게 깔려 있다. 충적토는 주로 하천연안에, 진펄토양은 은덕군의 신아산리, 청진시의 청암구역 연진(連津), 사구(沙口), 김책시의 용호(龍湖) 일대의 국한된 지역에 적은 규모로 분포되어 있다. 논토양은 경지면적의 20%이며 그 중에서 해하성 충적지 논토양이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