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평양시 자연
|
1. 지형
평양시는 대동강과 그 지류에 의하여 형성된 충적평야와 대동강연안의 평양준평원 그리고 오랜 기간의 지질시대를 거쳐 침식작용을 받아 형성된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북부와 서부 주변에는 잔구형태의 구릉성산지들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지난날 지질시대에 융기 또는 습곡 운동을 받아 일단 솟아 오른 후에 연한 층은 침식되고 비교적 굳은 층이 구릉으로 남은 것들이다.
여기에는 만경봉(萬景峯, 45m), 대성산(大城山, 270m), 장산(長山, 132m) 등이 솟아 있다. 평양의 중심을 관류하고 있는 대동강의 오른쪽 기슭에는 북남방향으로 모란봉(牡丹峯, 95m)을 비롯하여 만수대(萬壽臺, 60m), 장대재(將臺~), 남산재(南山~), 산등재, 해방산(解放山, 35m), 창광산(蒼光山, 47m) 등의 구릉들이 잇닿아 있는데, 이 구릉들은 모두 쥐라기 대동계의 분암과 혈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릉들은 대체로 장산을 비롯한 여러 산들과 거의 병행하여 놓여 있고 20~24도의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 구릉들의 서쪽과 동쪽에는 임원벌이 전개되어 있으며 대동강 왼쪽 기슭 동평양 일대에도 충적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역포구역을 중심으로 강남, 중화, 낙랑 일대에는 평양벌(平壤~, 950km²)이 넓게 전개되어 있는데, 이 벌은 석회암지대가 침식되어 낮아진 전형적인 준평원으로서 평양시의 주요 농업지대로 되어 있다. 미림벌(美林~, 30km²)과 접해 있는 평양준평원은 황주계 석회암통의 석회암이 용식되어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었다.
대동강에는 능라도(綾羅島), 양각도(羊角島), 쑥섬, 두루섬 등 충적섬이 있다. 평양준평원의 기반암은 주로 석회암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곳곳에 카르스트지형과 용식분지들이 있다. 이 준평원에는 고풍화각이 두텁게 덮여 있다. 평양을 중심으로 남, 동, 남서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넓은 구릉성벌과 충적평야는 대동강하류 쪽으로 열려져 있는 남서부를 제외하고는 거의가 구릉과 야산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령역의 지형은 대체로 분지모양을 이룬다. 산지는 주로 남동부와 북부, 북동부를 차지하고 있는데, 북부산지는 청룡산줄기(靑龍山~)의 남부에 해당하는 순안구역, 삼석구역, 은정구역, 용성구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북동부산지는 강동산줄기(江東山~)의 서부로서 강동군의 북부와 북동부에 분포되어 있다.
남동부산지는 언진산줄기(彦眞山~)의 서쪽 말단부분으로서 상원군 은구리, 명당노동자구, 수산리, 전산리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북부산지는 남쪽으로, 북동부산지와 남동부산지는 서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면서 준평원으로 바뀌는데 시의 지형은 대체로 동부에서 서쪽으로 가면서 낮아지고 있다.
남동부산지는 300~500m의 해발고도를 이루고 있으며 골짜기들이 깊어서 비교적 복잡한 지형을 보이고 있는데, 이 산지는 암석구성이 다양하고 지형도 각이하다. 석회암이 깔려 있는 고령산(高靈山, 542m), 만달산(蔓達山, 284m) 등에는 카르스트용식지형이 발달되어 산 위에는 카르스트분지들이 곳곳에 있고 산기슭에는 샘들이 있다. 카르스트분지에는 두꺼운 풍화층이 깔려 있어 오래 전부터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화강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고 있어 산봉우리가 비교적 날카로우며 산경사면의 물매도 30도 이상이다.
여기에는 수산(水山, 734m), 마장산(馬場山, 309m), 대청산(大靑山, 873m), 오봉산(五峯山, 774m) 등이 솟아 있다. 상원천(祥原川), 무진천(戊辰川), 곤양강(昆陽江) 등 상류의 침식작용에 의하여 남동부산지는 골 바닥이 깊이 파였기 때문에 산줄기들이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끊기어 있다.
북부산지는 보통강(普通江)과 합장강(合掌江), 순화강(順和江)에 의하여, 북동부산지는 수정천(水晶川)에 의하여 몹시 깎여 있다. 기반암은 낭림층군에 속하는 시생대, 원생대층의 흑운모편마암, 흑운모질편암류들로 이루어졌으며 신기구조운동 때에 현재의 높이로 융기된 다음 계속 침식삭박작용을 받아 작은 규모의 지맥들과 독립적인 봉우리들로 분리되어 복잡한 산지기복을 이루고 있다.
이곳에는 담화산(曇華山, 431m), 국사봉(國師峯, 444m), 용골산(430m), 심성산(尋聖山, 371m), 청운산(靑雲山, 363m), 손자산(355m), 현명산(玄明山, 530m), 추봉산(514m) 등의 야산들이 솟아 있으며 작은 규모의 분지들도 끼여 있다. 산릉선들은 북서~남동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비대칭을 이룬다. 청운산, 손자산, 심성산 지맥의 일부 지역에는 절벽들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 절벽 밑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테일러스들이 형성되어 있다.
2. 지질과 지하자원
이 지역에는 시생대에 생긴 낭림층군을 비롯하여 원생대층, 고생대층, 신생대층이 분포되어 있다. 시생대층(낭림층군)은 평양시의 순안구역, 용성구역의 대부분, 형제산구역의 북부 및 만경대구역의 남동부, 보통강구역의 북서부 그리고 상원군의 남동부까지 분포되어 있다. 낭림층군의 퇴적변성암류는 연화산암군의 화강암류와 함께 평남육향사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낭림층군의 암석들은 일반적으로 혼성암화작용을 강하게 받았으며 연화산암군의 화강암류 안에 고대잔류물형태로 들어 있다.
낭림층군은 주로 흑운모편마암류, 혼성암류, 결정편암과 이 결정편암층 안에 끼어 있는 양기석ㆍ투휘석질암, 대리암 및 규암들로 이루어졌다. 시생대 낭림층군 안에는 흑연, 인회석, 금, 은, 연ㆍ아연 및 금운모광산들이 있다. 상부원생대층(상원계)은 상원군~중화군 일대와 삼석구역과 용성구역 경계에 분포되어 있는데, 이 두 개 지구에 퍼져 있는 상원계는 층서와 바위생김새, 지층의 두께 및 변성정도에서 일련의 차이가 있다.
삼석구역과 용성구역의 접경지대에 있는 상원계지층은 두께가 얇다. 상원계층은 지층의 쌓인 순서에 따라 밑으로부터 직현통, 사당우통, 구현통으로 가른다. 하부고생대층(황주계)은 평양시 동부와 남부에 동서방향으로 넓고 길게 분포되어 있다. 황주계층은 그 대부분이 상부원생대의 구현통에 놓여 있으나 북부의 삼석구역에서는 사당우통 위에 놓여 있다. 평양시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황주계층은 지층이 쌓인 순서에 따라 밑으로부터 중화통, 흑교통, 무진통, 고풍통, 신곡통, 만달통으로 분리되며 매개 통 안에는 해당 지층이 생긴 지질시대를 반영하여 주는 생물화석들이 있다.
시령역 안에서 황주계층의 두께는 1,900m 정도이다. 황주계층 안에는 석회암을 비롯하여 비금속광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상부고생대층(평안계)은 평양시 중부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되어 있다. 평안계는 쌓인 순서에 따라 밑으로부터 홍점통, 입석통, 사동통, 고방산통, 태자원통으로 분리되는데, 여기에는 무연탄, 석회암을 비롯한 비금속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중생대층은 트라이아스기 상세-쥐라기 하세층(대동계)과 쥐라기 상세-백악기 하세층(대보계)으로 구분된다. 대동계층은 평양시 중부에 분포되어 있다.
대동계 송림산통은 역암, 사암, 점판암, 이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석학적 조성과 지층구성의 특징에 따라 3개 층으로 분리된다. 아래층은 역암과 분암으로 되어 있으며 이 사이에 분사암이 드물게 사이층으로 끼여 있다. 가운데층은 흑색분사암과 점판암으로 되어 있으며 역암이 사이층으로 끼여 있다. 위층은 사암, 사질역암, 얇은 두께의 분사암으로 되어 있다. 송림산통의 아래층과 가운데층의 횡단면은 대성산의 남서부 동물원 부근에, 위층은 대동강기슭에 드러나 있다. 대성산과 모란봉 일대에서 송림산통의 두께는 1,000m 정도이다.
송림산통의 아래에는 두께 0.3m 정도의 반무연탄 및 역청탄층이 2~5개 끼여 있는데 잇달린 방향에서 여러 개 층으로 갈라지면서 점차적으로 없어진다. 송림산통의 가운데부분의 흑색분사암 안에는 민물동물화석과 고사리류, 소철류, 은행류, 송백류 등의 식물화석이 들어 있다. 대보계는 쌓인 순서에 따라 침촌통, 대보산통, 한봉산통으로 분리된다.
제4기층은 대동강을 비롯한 그 지류들인 남강, 보통강, 순화강, 곤양강, 합장강, 무진천 연안을 비롯하여 평양준평원 일대에 두껍게 분포되어 있다. 제4기층은 충적층, 운적층, 잔적층, 홍적층, 중력층, 소택층으로 분리되며 주로 자갈, 모래, 진흙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양시에는 연화산암군(蓮花山巖群), 남강암군(南江巖群), 압록강암군(鴨綠江巖群)의 관입암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석탄을 비롯하여 철, 동, 연, 아연, 금, 수은 등과 형석, 중정석, 석회석, 고령토 등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이 가운데서 경제적 의의를 가지는 것은 무연탄, 석회석, 반토혈암, 금, 수은 등이다.
3. 기후
이 지역은 온대철바람기후대에 위치해 있어 사계절이 분명한 온대기후를 보이고 있어 덥지도 춥지도 않으며 강수량도 적당하다. 연평균기온은 9.5℃로서 북한 전체의 연평균기온과 거의 비슷하다. 1월 평균기온은 -7.8℃, 8월 평균기온은 24.4℃이다. 태양복사량은 많고 일조시간이 길다. 연총복사량은 535.9kJ/cm²이고 연평균일조시간은 2,431.5시간으로서 비교적 많다. 이 지역의 기후는 서해안지방과 내륙산간지대의 중간위치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데, 서해안 다른 평지대와 마찬가지로 같은 위도상의 동해안지대에 비하여 겨울철기온은 낮고 여름철기온은 높아 기온의 교차가 큰 것이 특징이다.
평양에서 월평균기온의 교차는 서해안의 평지대나 내륙지대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지만 동해안지대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평양시를 포함한 서해안지역이 대륙성기후의 특성을 보다 강하게 띠고 있기 때문이다. 이 지역에서 최저극기온은 -30.2℃(1949년 2월), 최고극기온은 37.2℃(1939년 7월)이다. 5℃이상 적산온도는 3,926℃, 10℃이상 적산온도는 3,635℃, 15℃이상 적산온도는 3,099℃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000.4mm인데, 강수량의 계절별 분포에서 여름철에 최대치를 보이고, 겨울철에 최소치를 보이며 겨울철에 눈이 적게 내리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지역은 지역별 강수량분포에서 일정한 차이가 있다. 대동강유역의 평지대와 해안에 가까운 지역에서 강수량이 적고 삼석, 순안과 같이 산줄기들이 놓여 있는 북부나 북동부 지역에서 지형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연평균풍속은 2.5m/s이고 연평균구름량은 5.4급 정도이며 지역적 차이가 크지 않다. 연평균맑은날수는 69~88일이고 흐린날수는 90~108일 정도로서 맑은날수보다 흐린날수가 20일 정도 더 많다. 연평균일조율은 56%이다. 첫서리는 10월 16일, 마감서리는 4월 22일경에 내리는데, 경우에 따라서 첫서리가 9월 말~10월 초에, 마감서리가 5월 초까지 내리는 때도 있다. 하루평균기온이 0℃이상으로 높아지는 봄은 3월 8일경에 시작된다. 봄철에 대륙의 찬 고기압이 현저히 약해지며 상대적으로 고기압구역에 놓인다. 이로부터 봄철기후에서는 개인 날씨가 지속되어 일조시간과 태양복사량이 많아진다. 또한 강수량이 적은데다가 대기는 메마르고 바람이 세므로 증발이 심하게 일어나 증발량은 강수량의 1.5~2배에 달한다. 그리하여 4~5월에는 토양의 물기가 적어져 가뭄현상이 종종 나타난다.
봄철에는 기온이 매우 빠른 속도로 높아질 뿐만 아니라 기온변화가 큰 것이 특징이다. 평양시에서 봄철 초기에는 4일에 1℃ 정도 높아져 4월 초순경부터는 같은 위도상의 서해안의 바닷가 지역보다, 4월 하순경부터는 동해안의 바닷가 지역들보다 평균기온이 더 높아진다. 봄철기후에서 또 하나의 특징은 낮기온이 높고 밤기온이 낮아 기온의 일교차가 매우 큰 것이다. 봄철 강수량은 128~163mm로서 연강수량의 14%에 지나지 않는다. 봄철은 연 중 바람이 가장 세게 부는 것이 특징이다. 하루평균기온이 20℃ 이상 되는 여름철은 6월 11일경에 시작하여 9월 10일경에 끝난다. 이 지역은 7~8월에 덥고 비가 많이 오는 것이 특징이다. 여름철 기후에서 특징적인 것은 또한 기온의 변화가 매우 작고 최저온도는 높으며 기온의 일교차가 작은 것이다.
7~8월 평균최저기온은 20℃를 넘는다. 여름철 월평균풍속은 작으나 저기압 또는 태풍이 지나갈 때 비가 오면서 센 바람이 부는데, 30m/s 이상의 센 바람이 분 경우도 있었다. 가을철은 9월 11일경에 시작하여 11월 30일경에 끝난다. 이 시기에는 기온이 급격히 하강하고 상대적으로 맑고 메마른 날씨가 지속된다. 가을철은 기온의 변화가 심하고 일교차가 크다. 강수량은 장마의 영향을 받는 9월 상순을 내놓고 110~136mm로서 연강수량의 12%에 지나지 않는다. 겨울철은 찬 북서바람의 영향으로 날씨가 춥고 강수량이 매우 적다. 특히 겨울철기온은 동해안지대보다 훨씬 낮다. 이따금 남쪽으로부터 더운 공기가 올라와 몇 시간 사이에 기온이 -5℃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날씨가 따뜻해지는 경우도 있다.
4. 수문
이 지역은 대부분이 평양벌지대이지만 자연지리적 조건이 다양하여 하천망이 복잡하다. 모든 하천들은 주로 북서~남동방향으로 흐르면서 시령역 안에서 본류에 유입된다. 북쪽에서 흘러들어온 대동강은 시의 한복판을 관류하면서 왼쪽 기슭의 동리천(東里川), 수정천, 삼청천(三靑川), 남강, 양지천(陽地川), 휴암천(休岩川), 무진천(戊辰川), 곤양강(昆陽江), 매상천, 오른쪽 기슭의 광덕천(廣德川), 원흥천(圓興川), 성문천(聖文川), 노산천(魯山川), 합장강, 보통강, 순화강 등 하천의 흐름을 모아 가지고 남서방향으로 흐른다. 하계는 나뭇가지모양이고, 하천들은 모두 대동강수계이다. 시안에는 길이가 200km인 남강을 비롯하여 5km 이상의 하천이 69개나 된다.
시안의 하천들 가운데서 90% 정도가 유역면적 50km²이하이다. 주요 하천들의 하천망밀도의 평균값은 약 0.55km/km²인데, 하천망밀도가 큰 하천은 매상천, 용산천(龍山川) 등이며 작은 하천은 금성앞개, 번동천(繁洞川) 등이다. 주요 하천들의 유역완전도평균값은 약 0.29이며 유역평균너비의 평균값은 5.1km이고 분수선 길이의 평균값은 62km이다. 가장 긴 하천은 남강, 보통강이다. 시안의 하천들은 미림 부근을 경계로 하여 대동강 중류부에 속한 하천들과 대동강 하류부에 있는 하천으로 나뉜다. 비교적 큰 강들 가운데서 남강, 합장강 등과 그 지류들의 유역평균높이는 100m 이상이고 물매도 5‰ 이상이지만 미림 하류에서 본류로 흘러드는 유역의 높이는 낮고 완만하며 하계의 구조도 단순하다. 주요 하천들의 유역평균높이는 20~400m의 넓은 구간을 차지한다. 높은 지대를 흐르는 하천은 남강, 송석천(松石川), 아천 등이며 낮은 지대를 흐르는 하천은 평양벌에 있는 휴암천, 서포천(西浦川) 등이다.
주요 하천들의 물매는 6‰ 정도이며 가권물매는 4.4‰이다. 대동강은 미림 일대를 경계로 하여 중류와 하류로 분기된다. 미림갑문(美林閘門)에서 하류로 가면서 강너비가 넓어지며 흐름이 느리다. 서해갑문이 건설되기 전에는 서해의 미세기영향이 미림까지 미치었다. 서해갑문이 건설됨으로써 언제나 안정된 물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대동강의 풍부한 수력자원은 경제 여러 부문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지역에는 어부산저수지(魚鳧山貯水池), 장수원저수지(長壽院貯水池), 성문저수지(聖文貯水池), 임원저수지(林原貯水池), 어룡저수지(漁龍貯水池), 마장저수지(馬場貯水池), 진광저수지(眞廣貯水池), 상원저수지(祥原貯水池) 등의 저수지들이 건설되어 있다.
5. 식물과 동물
이 지역은 식물성장에 유리한 기후와 토양조건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아한대성식물로부터 아열대성식물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식물종들이 있는데, 그 가운데는 관상용식물, 약용식물, 식용식물, 기름식물, 향료식물들도 있다. 이 지역의 식물상은 온대중부수림지대의 저산 및 저지 식물상이다. 식물의 수직적 분포는 뚜렷하지 않으며, 다만 남동부 황해북도와의 경계에 있는 대청산 일대에서만 식물분포의 수직대성이 나타날 뿐이다. 평양시 산림 가운데서 위생풍치림은 수도 시민들의 건강과 문화휴식을 보장하며 평양시의 풍치를 더한층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시 주변과 주요 도로주변에 설정한 산림으로서 보호림 총면적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위생풍치림은 용골산, 국사봉, 청운산, 고령산 등 시 주변의 가까운 산들에 전반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지역에서 산림면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은 삼석구역과 용성구역, 상원군과 강동군, 승호구역 등이다. 이 지역들에는 주로 소나무 숲이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 산지들에서는 참나무와 혼성림을 이루고도 있다. 주요 식물은 소나무, 참나무, 신갈나무, 다릅나무, 사시나무, 물푸레나무, 박달나무 등이며 그 밑에는 싸리나무, 개암나무 등이 자란다. 시 주변 야산들에는 곳곳에 성장이 빠른 평양포플러나무, 메타세쿼이아, 아까시나무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광복 후에 기름나무숲, 섬유제지림, 산과일숲 등 경제림을 대대적으로 조성하였다.
기름나무숲에서는 잣나무, 호두나무, 가래나무, 산초나무, 수유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잣나무는 상원, 중화, 강동, 삼석, 용성 일대의 해발 50~150m의 산경사면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중화군 삼흥리에는 경제적 가치가 큰 산초나무 숲이 규모 있게 조성되어 있으며 강동군 대리노동자구에도 잣나무 숲을 비롯하여 많은 산림이 조성되어 있다.
섬유제지림에서 가치 있는 수종은 평양포플러나무를 비롯하여 황철나무, 일본잎갈나무 등이다. 평양포플러나무는 해발 20~100m의 산기슭과 강하천 연안에, 일본잎갈나무는 중화군, 강남군, 형제산구역 등 해발 50~100m의 산경사면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평양시산림에는 산열매자원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시 영역의 산들에는 밤, 도토리, 다래, 머루, 돌배 등 산과일이 많다. 특히 평양지방은 예로부터 밤이 많이 나는 고장으로 유명하였으며 평양밤은 그 맛이 좋아 ‘약밤’이라고 일러왔다. 이 지역에는 갖가지 나무, 넓은 잔디밭, 화초밭, 모양 좋고 향기로운 가로수들이 도시를 더욱 아름답게 장식하고 있다.
평양의 거리들에는 살구나무, 오동나무, 은단풍, 은행나무, 호두나무, 메타세쿼이아 등 가로수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대성산기슭에 있는 중앙식물원에는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보내온 선물식물들을 비롯하여 수백 종의 식물들이 있다. 이 지역은 구릉성벌인 넓은 평양벌과 그 주변을 둘러막은 청룡산줄기, 강동산줄기, 언진산줄기의 산지대, 시내 중심부를 흐르는 대동강을 비롯한 강하천망 그리고 따뜻한 기후조건으로 하여 조선저지대동물상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다. 시 주변산림지역에는 산토끼가 많으며 강동군의 산지대에는 살쾡이가 있다.
대성산, 용악산, 상원군, 승호구역에는 고라니가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시안의 비교적 울창한 산림지대에는 청서, 다람쥐, 너구리, 산토끼 등이 분포되어 있다. 시에는 또한 꿩, 딱따구리, 박새, 뻐꾸기, 접동새, 기러기 등 조류도 많다. 모란봉, 만경대, 대성산을 비롯하여 강동, 순안 등에는 꿩이 많다. 대동강과 그 지류인 남강, 상원강, 보통강, 합장강, 무진천, 곤양강, 순화강 등에는 숭어, 잉어를 비롯한 물고기들이 많다.
6. 토양
이 지역은 대체로 충적지토양과 논토양, 갈색산림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충적지토양의 지리적 분포를 보면 대동강 중류연안과 순화강, 합장강, 상원강 등 중소하천연안에 많이 발달되어 있다. 이 토양은 모래와 점토의 비율이 적당히 포함되어 매우 부드럽고 수분과 공기가 잘 통하며 상류지방의 부드러운 토양입자들이 내려와서 쌓였기 때문에 상당한 비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다른 토양에 비하여 칼륨과 인 성분이 많다. 이 지역의 갈색산림토양에는 담갈색산림토양, 옛붉은색ㆍ갈색산림토양, 반점모양으로 발달되어 있는 미발달갈색산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담갈색산림토양은 상원군의 고령산, 수산, 중화군의 마장산, 사동구역의 제령산, 삼석구역의 국사봉, 손자산, 청룡산줄기에 잇닿은 순안구역의 용골산 등 해발 500m 이하의 중산성산지들과 만경대구역의 대보산ㆍ용악산, 용성구역 일대의 야산, 대성구역의 대성산 등 야산지대와 높낮이가 균일하지 못한 구릉에 분포되어 있다. 옛붉은색ㆍ갈색산림토양은 역포구역, 중화군, 강남군, 낙랑구역, 사동구역 등지의 구릉성준평원지대와 상원군, 승호구역, 강동군 등 낮은산지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