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황해북도 장풍군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장풍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장풍군 경제
이 지역은 광복 전에 인삼과 왕골을 많이 재배하였고 이밖에 주로 조, 피, 수수, 기장 등 잡곡농사를 하던 농업지대였다. 광복 후 지방공업이 형성되면서 직물, 피복, 식료, 일용품, 건재, 종이 등 다양한 공업부문이 발족되었다. 지방공업에서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부문은 직물 및 피복 공업으로서 각종 천과 옷을 생산하고 있다.

식료품공업은 지방공업에서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하는 공업부문으로서 여러 가지 장류와 당과류, 기름, 청량음료, 채소 및 고기 가공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 고장의 명산물은 예로부터 군 안에 많이 자라는 닥나무를 원료로 생산하는 한지이다. 농업에서 농산업이 기본으로 되고 있는데,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약 20%를 차지한다. 광복 후 임진강관개체계를 건립하여 석둔리, 장학리, 귀존리, 임강리를 비롯한 9개 리들의 많은 밭을 논으로 개간하고 등성이의 밭까지 관개함으로써 지난날 밭농사만 짓던 이 고장에서 벼농사가 성하게 되었다.

농경지에서 논이 23%, 밭이 64%, 과수밭이 8%, 뽕밭이 3%를 차지하며 주요 농산물은 벼, 옥수수, 콩, 기장, 들깨, 인삼 등이 있다. 인삼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이 고장의 특산물이다. 채소업에서는 무, 배추, 고추를 비롯한 여러 가지 채소가 재배되고 있으며 과수업에서는 배, 사과, 복숭아, 밤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가축업에서는 소, 양, 염소, 토끼, 돼지 등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양봉업도 성하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장풍군 장풍제약공장
장풍군 장풍제약공장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장풍군 장풍제약공장
장풍군 장풍철제일용품공장
장풍군 임진강 떼몰이
장풍읍 장풍식당 내부
 
1 /1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