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황해북도 개성시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개성시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개성시 자연
개성시는 풍덕벌(豊德~), 월암벌(月巖~), 임진강어구벌(臨津江~)을 비롯한 넓은 벌과 한강(漢江), 임진강(臨津江), 예성강(禮成江) 등 수자원, 따뜻한 기후조건, 풍부한 지하자원을 가지고 있다.

1. 지형

이 지역은 북한 자연지리구의 서남저지대, 지형구의 서해저지대 강화만(江華灣) 연안 저지의 북부에 속하는데, 지형은 구릉성지형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평균해발은 116m로서 북한 전체의 평균해발보다 324m나 낮으며 황해북도의 평균해발 보다도 107m나 낮다. 시 영역에서 산지가 61.55%를 차지하고 있으나 해발고도가 높지 않고 기복량도 그리 크지 않다.

해발고도에 따른 분포로 보면 해발 100m 아래 지역이 57.27%, 101~200m 지역이 28.18%, 201~400m 지역이 11.82%, 400m 이상 지역이 2.73%를 차지한다. 북부가 아호비령산줄기(阿虎飛靈山~)에 속하는 비교적 높은 산지로 되어 있고 중부와 남부는 구릉성 산지로서 해발이 300m 미만이다. 북부에서 남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져 임진강, 예성강, 한강 등으로 둘러싸인 남부지역은 풍덕벌, 월암벌과 같은 비교적 넓은 벌로 되어 있다. 지형은 북부에서 남부로 가면서 기복량이 점차 작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북동부(장풍 일대)와 북부에서는 기복량이 300m, 최고 480m이나 개풍군에서는 100~200m 밖에 되지 않는다. 절대높이도 북부와 북동부가 높고 남부와 남서부로 가면서 낮아진다. 시 영역에서 가장 높은 산은 북부의 묘지산(778m)이다. 아호비령산 줄기는 북부경계지대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북부에서 황해북도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시 안에서 산줄기의 길이는 북동부 수용산(首龍山, 716m)에서 남서부의 송악산(松嶽山, 490m)까지 26km이다. 너비는 남부에서 북쪽으로 가면서 좁아진다. 아호비령산줄기의 해발은 북부와 남부에서는 400~700m이며 중부에서는 300m 정도이다. 산줄기에서 주봉을 이루는 산은 수용산, 부대산(463m), 묘지산(778m), 천마산(天磨山, 757m), 송악산 등이다. 이 산줄기는 평야지대에 놓여있어 그 모양과 방향이 명확하다. 아호비령산줄기는 중부고생대 임진계 삭녕통의 암회색천매암과 회녹색녹니질천매암, 회색천매암, 분사암, 조립사암 및 중생대 쥐라기 단천암군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졌다. 아호비령산줄기는 몹시 깎이어 경사면의 물매가 급하다.

아호비령산줄기의 천마산에서 동쪽의 화장산(華藏山, 559m), 배용산(390m), 대덕산(大德山, 236m)으로 잇닿은 지맥이 뻗어 있는데, 이 지맥은 임진강의 지류인 사미천(沙彌川)의 분수령으로서 개성과 장풍군의 경계로 되어 있다. 아호비령산줄기에는 화강암이 풍화작용을 받아 생긴 기암절벽이 있는데, 이곳에 우리나라에서 이름난 폭포인 박연폭포(朴淵瀑布)가 있다. 시 영역에서 낮은 곳은 남부와 서부의 변두리를 따라 띠모양으로 널려있는 한강과 예성강 연안의 벌, 북동부의 임진강 연안의 벌이다.

벌지형은 삭박-퇴적지형으로서 모두 북남 또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놓여 있다. 벌의 높이는 대체로 20m 안팎이고 임진강어구벌의 높이는 50m 정도이다. 예성강 및 한강 연안의 벌은 시의 서부와 남부, 예성강과 임진강 사이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서 삼성벌(三城~), 신광벌(新光~), 월암벌(月巖~), 임진강어구벌이 비교적 넓다.

이 벌의 높이는 0~20m 안팎이며 상대높이는 1~15m 정도이다. 예성강 및 한강 연안벌은 이 강과 그 지류들인 식현천(食峴川), 죽배천(竹白川), 월암천(月巖川), 전문천(箭門川)을 비롯한 작은 하천들의 옛하성단구와 현세단구로 된 평탄한 단구면과 잔구, 구릉들 사이에 이루어져 있는 삭박-퇴적벌이다. 그러므로 벌은 하천연안에서 비교적 평탄하나 내륙쪽으로 가면서 물결모양을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다. 예성강 연안벌에는 3개의 지형면이 이루어져 있다. 제1지형면은 해발 5m 이하의 퇴적단구 및 침수지이고 제2지형면은 20~45m의 침식-퇴적단구면적이며 제3지형면은 100m까지의 정고성을 이룬 긴 구릉성지형이다. 한강 연안벌에는 2개의 지형면이 있다. 제1지형면은 해발 5m까지의 퇴적지형면이고 그 위에 놓인 제2지형면은 100m까지의 정고성을 가진 삭박지형면이다.

임진강어구벌은 임진강 기슭을 따라 좁게 전개되어 있다. 임진강어구벌에는 2개의 지형면이 있는데 제1지형면은 해발 5m까지의 퇴적단구면이고 제2지형면은 35m까지의 침식-퇴적면이다. 개성시의 현재 지형은 여러 단계의 구조운동을 받아 이루어졌다. 하부원생대에 옹진습곡구조운동을 받아 습곡산지가 이루어졌는데, 이 산지는 북부에 동~서 방향으로, 남부에 북~남 방향으로 놓여있다. 중생대에 들어와 송림구조운동과 대보구조운동이 있었다. 송림구조운동 때에는 북부에 동~서 방향, 서부에서 북~남 방향, 큰 규모로 볼 때는 북동~남서 방향의 산줄기가 이루어졌으며 그 후 가장 큰 규모로 일어난 대보구조운동시기에 북부와 남부에 높은 산지가 형성되었다. 개풍군 일대에서는 북남방향의 단층들이 움직여 산지가 더욱 높아졌다.

개성시의 지형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신기구조운동이다. 고제3기에 시 영역은 지체구조적으로 상대적인 안정기였으므로 중생대에 생긴 산지들이 침식 삭박당하여 기복량이 훨씬 작아졌다. 올리고세~마이오세 초에 황해남북도 및 강원도와 함께 개성시 지역은 매우 덥고 습윤한 기후조건에서 풍화작용을 강하게 받았으므로 거의 모든 지역이 야산과 준평원으로 되었다.

그리하여 준평원지대에 두께 5~10m의 적색찰흙층과 석비레층 등 풍화각이 생겼다. 마이오세와 제4기에 이 지역은 길주구조운동과 검덕구조운동에 의한 궁륭지괴융기운동을 받아 산지로 되었다. 이때 개성시는 궁륭상습곡의 융기축 부근의 지형(해발 1,100~1,600m)보다 낮게 융기하였으나 황해남도 일대의 지형(해발 300~400m)보다는 높게 융기하였다. 그리하여 아호비령산줄기와 남부의 낮은 산지를 내놓은 지역은 벌로 되었다. 이 신기지체구조운동은 중생대에 생긴 심부전단대를 움직이게 하여 다시 예성강전단대와 임진강전단대를 움직이었다. 마이오세 중기에는 개성시의 북부가 융기되었다. 제4기 하세와 중세에는 구조운동을 받아 예성강과 그 연안일대가 10~20m 높이로 융기하였다. 제4기 상세에는 남부지역이 침강되어 바다에 잠기었다.

그러므로 예성강과 한강 하류연안에는 해성이토층이 쌓이게 되었다. 제4기 현세의 천지구조운동 때에는 내륙지대와 함께 해안지대도 융기되어 해성-충적평야가 이루어졌다. 마이오세 이후에 이루어진 지형은 현대지형 형성인자들의 끊임없는 작용으로 변화되고 있다. 개성시의 현대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준 것은 하천침식이다. 특히 강수량이 많은 여름에 하천의 침식이 강한데 아호비령산줄기 일대에서 더욱 심하다.

장풍군 북부에 있는 아호비령산줄기의 동부지대는 사미천과 지곳천, 사천강(沙川江, 37.5km)의 강한 침식작용에 의하여 끊어졌다. 장마철에는 토양과 굳어지지 않은 옛 풍화각이 적지 않게 세식되어 유실된다.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선침식도 일부 진행되고 있다. 그리하여 강연안의 곳곳에 강벼랑들이 발달되어 있다. 남부의 한강 연안에는 서해의 밀물과 썰물의 작용으로 생긴 해식-퇴적지형이 이루어져 있다.

2. 지질

이 지역은 평남육향사최남부, 임진강습곡대와 배천돌출대 동쪽구역에 위치해 있다. 서쪽구역에는 중생대 예성강전단대가 있다. 이 지역은 하부원생대로부터 신생대에 이르는 퇴적층과 하부원생대로부터 중생대까지의 관입암류들이 발달되어 있다. 지질구조적으로 심하게 요란되어 있어 지질구조는 매우 복잡하며 여러 가지 유용광물이 분포되어 있다. 퇴적층의 일반적 층서체계는 하부원생대 황해층군, 상부원생대 상원계 사당우통, 고생대 데본기 임진계 부압통ㆍ삭녕통, 신생대 현세통 모래자갈층으로 되어 있다. 하부원생대 황해층군은 임진강습곡대의 남부의 판문군 지역과 개풍군, 장풍군 일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황해층군은 화강암류에 의하여 심하게 관입되고 교대작용과 혼성암화작용을 거의 받지 않은 결정편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층은 임진계 삭녕통과 구조접촉하며 다른 지방(옹진지방 또는 율라배사핵부인 인산군 수현리)의 황해층군과 잘 대비되지 않으나 결정편암류와 혼성암의 변성도가 낭림층군암석보다 훨씬 낮으므로 지금까지 황해층군으로 설정되어 있다. 혼성암은 밸모양혼성암, 층모양혼성암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약간의 잔류물형태로 대리암, 규암, 규질흑운모편암이 있다.

부분적으로 혼성암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결정편암류는 지역마다 일정하지 않으나 공통적으로 대리암, 규암, 흑운모편암, 규질편암, 석류질편암들의 엇바뀜층으로 남아 있다. 개풍군 화곡리, 월정리 일대에는 두꺼운 흑운모편암층 안에 석회암, 대리암사이층규암이 놓여 있으며 장풍군 고읍리에서 국화리 남쪽까지 두꺼운 석회암층이 동서로 길게 분포되어 있다. 대리암이나 편마암류는 석재로도 이용되지만 혼성암 안에 있는 사이층 석회암에는 연-아연과 같은 유색금속의 후암장열수광상이 많다.

상부원생대 상원계 층은 주로 개풍지방의 서부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상원계층의 대부분은 단천암군 화강암류의 강력한 관입작용에 의하여 심하게 변질되었다. 상원계층은 편암류와 규암류의 변성암층과 암회색석회암, 고회암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암층들은 화강암의 관입작용을 받아 변성되었고 황해북도 금천지방의 상원계층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층이다. 현재 상부원생대 퇴적층의 변성된 결정편암류가 가장 집중적으로 남아있는 곳은 개풍군 여현리와 삼성리, 신광리 일대이다. 중부고생대 데본기층은 판문군 지역과 개풍군, 장풍군 일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임진계퇴적층은 황해북도 금천군과 개풍군 사이 금천~개풍대 단층을 따라 자오선방향으로 구부러져 분포되어 있다. 이 층의 부압통은 개풍군 여현리로부터 개풍읍~묵송리 사이에, 북남방향으로 금천~개풍대 단층을 따라 분포되어 있으며 사질규암, 분사질점판암, 점토질견운모편암의 엇바뀜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부고생대 데본기 삭녕통은 임진계의 제일 윗층인데 개풍군의 동쪽 고남리와 개성의 진봉리, 삼거리, 박연리, 장풍군 북부 가곡리, 덕적리, 냉정리, 석둔리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삭녕통은 부압통 위에 정합으로 놓여있는데 주로 두꺼운 분사질점판암, 점토질견운모편암, 복운모편암들로 되어 있고 이것들 사이에 석회암, 규암층이 여러 층 끼어 있다. 삭녕통의 아래층은 개풍지방ㆍ장풍군 장좌리에, 위층은 장풍지방에 있다. 삭녕통의 두께는 2,000~3,200m이다. 제4기층으로서는 현세 퇴적층만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현세 강하천의 물길과 물길 옆의 단구들에는 하성충적층이, 개풍군의 예성강ㆍ한강 연안에는 해성충적층이 발달되어 있다. 충적층은 굳어지지 않은 자갈, 모래, 찰흙으로 되어 있으며 여러 곳에 연해성 이탄층이 있다. 현세 퇴적층에는 모래, 자갈 같은 골재와 사금이 있는 표사광상이 있다.

개성시에는 하부원생대 옹진암군, 상부고생대 평강암군, 중생대 단천암군의 관입암류가 분포되어 있다. 옹진암군의 관입체는 하부원생대 변성암층에 주입된 층상체, 맥상체로 나타나는 흑운모편마상화강암과 세립질화강암이다. 이 관입암류는 판문군 일대와 장풍군 남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상부고생대 평강암군의 흑운모화성각섬섬장암은 개풍군 묵산리 마답동 부근에 분포되어 있다. 중생대 쥐라기관입암류인 단천암군은 개성시의 넓은 지역에 여러 개의 관입체를 이루면서 분포되어 있다.

규모가 큰 것은 개성관입체, 신성관입체이며 작은 것은 개풍군 풍덕리와 해평리에 분포되어 있다. 시에서 가장 대표적인 관입체는 개성관입체이다. 개성관입체는 개성을 중심으로 시의 대부분 지역과 장풍군 월고리, 고읍리, 대덕산리, 선적리, 개풍군 해선리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분포면적은 약 1,300km² 이다. 이 지역은 지체구조적으로 연안-배천돌출대와 임진강습곡대의 경계부근에 있어 하부원생대 옹진구조운동으로부터 중생대 단열지괴운동까지의 심한 지각운동의 영향을 받아 지체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여기에 많은 유용광물들이 형성되어 있다. 개성시 일대에는 금, 연, 아연, 동, 중석, 몰리브덴 등 금속자원을 비롯하여 형석, 중정석, 남정석, 석회석, 화강석, 석비레, 이탄, 초무연탄, 고령토와 같은 여러 가지 지하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3. 기후

이 지역은 북반부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의 하나이다. 겨울은 비교적 짧고 그리 춥지 않으며 여름은 길고 무덥다. 개성의 1월 평균기온은 -5.4 ℃로서 양강도 혜산에 비하여 13℃ 이상 높으며 7~8월 평균기온은 3~5℃나 높다. 연평균기온은 10.1℃로서 4월의 평균기온에 가깝다. 지역별로 보면 지세가 낮은 지역인 남부의 판문에서 10.6℃로서 제일 높고 북쪽내륙에 있으면서 높이가 판문보다 100m나 높은 장풍에서 9.4℃로서 가장 낮다. 기온의 연변화를 보면 최고는 8월에(24~25℃), 최저는 1월에(-5~-7℃) 나타난다. 8월 평균기온은 판문에서 24.7℃, 장풍에서 24.0℃이며 1월 평균기온은 판문에서 -5.1℃, 장풍에서 -6.5℃이다.

기온의 하루 변화폭의 평균값은 10.6℃인데 해안평지대에서 10℃ 정도, 내륙지대에서 12.2℃이다. 월별로 보면 4월과 10월에 12~15℃, 7월과 8월에 7~9℃이다. 기온의 연변화폭은 시평균 30℃인데 지역적으로 그 차이는 1℃를 넘지 않는다. 연평균최고기온은 연평균기온보다 5~6℃ 더 높다(시 평균 15.8℃). 연평균최고기온은 지역적 차이가 크지 않은데, 장풍과 판문에서 16.0℃이고 개풍에서 15.5℃이다. 개성에서 최고극기온은 37.6℃(1958년 6월 24일)였다. 이와 비슷한 높은 기온은 7월과 8월의 장마중단기와 장마전 대륙성기단의 영향을 받을 때의 개인 날에 심한 복사가열로 자주 나타난다. 연평균최저기온은 연평균기온보다 5℃ 정도 낮다. 시 평균은 5.2℃이고, 판문에서는 6℃, 장풍에서는 3.8℃이다.

월별로 보면 평균최저기온은 장풍에서 1월에 -12.3℃, 8월에 판문에서 21.2℃이다. 개성지방에서 최저극기온은 1981년 1월 4일에 장풍에서 -28.2℃, 개성에서 -23.4℃, 판문에서 -22.6℃, 개풍에서 -22.2℃였다. 철별로 보면 봄철에 다른 계절에 비하여 기온이 빨리 높아져서 3~4월에는 4~5일에 1℃, 5월에는 5~6일에 1℃씩 높아진다. 하루 평균기온이 0℃ 이상 되는 시기는 개성에서 3월 2일이며 지역적 차이는 3일이다.

0℃ 이상 되는 시기로부터 약 25일 지나서 하루 평균기온은 5℃ 이상으로, 약 45일 지나면 10℃ 이상으로, 약 100일 지나면 20℃ 이상으로 된다. 봄철의 평균기온은 9.4℃인데 판문에서 9.8℃, 장풍에서 8.9℃이다. 봄철 평균최고기온은 시 평균 15.6℃로서 평균기온보다 6℃ 정도 높으며 지역적 차이는 1℃ 이하이다. 봄철평균최저기온은 4.1℃인데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관계로 지역적 차이가 좀 심하여 장풍에서 2.6℃, 판문에서 4.9℃이다. 기온의 하루변화폭은 11.5℃로서 여름보다 3℃ 정도 더 크며 가을보다는 약간 작다.

장풍에서는 해안지방에 비하여 2.5℃ 정도 큰데, 특히 5월에 그 차이는 3.5℃나 된다. 여름철 개성시 평균기온은 22.7℃이며 기온이 가장 높은 8월에 판문에서는 24.7℃, 장풍에서는 24.0℃이다. 여름철 장마중단기에는 기온이 높이 올라가는데 1978년 7월 29일에 35.2℃, 1959년 8월 3일에 35.8℃였다. 가을철기온은 시 평균 12℃ 로서 봄철에 비하여 2℃ 정도 높고 기온이 내려가는 속도는 봄에 올라가는 속도보다 빠르다. 지역적 차이를 보면 판문에서 12.7℃, 장풍에서 11℃이다. 가을이 깊어질수록 차이가 더 커진다. 하루 평균기온이 0℃ 이하로 내려가는 시기는 판문에서 12월 4일, 내륙에서는 11월 30일경이다. 겨울철기온은 시 평균 -3.8℃로 지면온도보다 1℃ 정도 낮다. 그리고 장풍에서 -4.6℃, 판문에서 -3.3℃이다. 겨울철 평균최저기온은 -8.6℃로서 평균기온보다 5℃ 정도 낮은데 장풍에서 -10.3℃, 판문에서 -7.8℃이다.

1월 평균최저기온은 장풍에서 -12.3℃, 판문에서 -9.7℃이다. 겨울철에 하루 평균기온이 0℃ 이상 되는 푸근한 이상기후현상도 적지 않다. 개성에서 하루 평균기온이 0℃ 이상으로 올라가는 날수는 평균 1월에 5일, 2월에 9일이고 연속 0℃ 이상으로 올라가는 날수는 1월에 3일, 2월에 7일 정도이다. 하루평균기온이 0℃ 이상으로 연속 올라간 역사적 기록은 1972년 1월에 11일, 1976년 2월에 21일이었다. 개성시는 10℃이상 적산온도가 3,500~3,800℃ 정도로서 온열조건이 좋고 식물의 생육일수가 길다. 개성시에서는 남서부 해안지역으로부터 북동부 내륙지대로 가면서 점차 온도가 낮아지는데 10℃이상 적산온도는 내륙지대의 장풍에서 3,500℃ 이하이며 남쪽의 판문지방에서 3,800℃ 정도로서 높다. 한편 해안 지역으로부터 내륙지대로 가면서 습도가 높아진다.

장풍을 중심으로 내륙지대에서는 다른 지역들에서 몹시 가뭄 때에도 가뭄이 들지 않으며 해안평지대에서 비가 적당히 내릴 때에는 냉습하여 농작물 생육에 불리한 조건이 조성된다. 해안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적은데다가 기온이 높고 해풍의 영향으로 증발이 심하다. 그리하여 가뭄이 자주 드는데 이러한 가뭄현상은 석비레땅이 많은 개성과 판문에서 더 심하다. 개성시의 강수량은 지역적으로나 계절적으로 변화가 심하다. 연평균강수량은 1,329mm로서 북한에서 강수량이 많은 지대에 속하며 지역적 차이도 심하고 집중호우도 자주 내린다. 강수량이 제일 많은 장풍에서 연평균강수량은 1,547.5mm이고, 바닷가지방들에서는 1,230mm 정도이다. 이것은 해안에서 1km씩 내륙으로 들어감에 따라 강수량이 10mm 정도씩 많아지는 것으로 된다.

1978년에 장풍과 판문 지방 사이의 강수량차이는 800mm나 되었다. 강수량의 연변화에서 특징적인 것은 여름에 장마가 지면서 많은 비가 내리고 봄에 심히 가무는 것이다. 연강수량 가운데서 여름철에 63%, 가을과 봄철에 각각 16%, 겨울에 5%를 차지한다. 특히 연강수량의 53%는 7~8월 장마철에 내리며 1~2일 사이에 내리는 집중호우가 2~4차례 반복되면서 장마철 강수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강수량은 1939년에 758mm였는데, 1960년 초부터 체계적으로 많아져 1964~1966년 사이에 매해 2,234mm로 최대에 이르렀다가 1970년대 초부터 다시 체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이와 같이 제일 적었던 해와 많았던 해의 강수량 차이는 1,476mm나 되었다.

겨울철강수량은 시 평균 65mm로서 연평균강수량의 5%이다. 개성시에서 연평균상대습도는 시에서 74%, 장풍에서 76%, 개성에서 72%이다. 연변화를 보면 여름장마철인 7~8월에 높고 겨울과 봄철에 낮은데 최대는 8월(86~88%)이고 최소는 1월(65~70%)이다. 그런데 장풍에서는 4월에 제일 낮다. 첫눈 내리는 날짜는 일반적으로 개성시에서 11월 20일, 장풍에서 11월 18일이다. 역사적으로 제일 빠른 첫눈이 내리는 날짜는 개성에서 1981년 10월 25일, 장풍에서 10월 23일이었다. 개성에서 첫서리 날짜는 10월 14일경, 마감서리 날짜는 4월 24일경이다. 마감서리 날짜의 보장률을 보면 해안지대에서 4월 중순 이후에 50~60%, 5월 1일 이후에 10~20%, 5월 10일 이후에 10% 이하이다. 내륙지대인 장풍에서도 4월 중순 이후에 90% 이상, 5월 1일 이후에 80%, 5월 10일 이후에 60%로서 서리피해를 많이 받는 지역으로 되어 있다.

가을철 첫서리의 보장률을 보면 장풍에서 9월 25일 전에 1%, 10월 1일 전에 2%, 10월 15일 전에 100%(개성에서 69%)이다. 무상기간은 판문에서 180일, 장풍에서 170일이다. 개성시는 동북아시아 계절풍지대에 속하므로 겨울에는 중위도 아시아대륙에서 발생하는 찬대륙 고기압과 관련되는 대륙성 중위도기단의 영향으로 북서풍이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계속된다. 여름에는 태평양고기압과 관련되는 아열대 해양성기단의 영향으로 남서풍이 우세하다. 개성지방에서 연중에 폭풍(15m/s이상 바람)횟수는 평균 13회에 달하며 봄에는 한 달에 두번 정도이고 여름에는 2~3년에 한번 정도이다. 바람이 제일 센 봄철의 주풍은 3월까지 북서풍이고 4월과 5월에는 남서풍이다.

4. 수문

이 지역에는 예성강, 한강, 임진강과 그 지류들이 있다. 한강은 남쪽경계를 따라 동~서 방향으로 흐르며 그 지류인 임진강은 북동부와 남동부 경계를 지나 개풍군 임한리에서 본류에 합류한다. 서쪽경계를 이루는 예성강은 개풍군 남서부에서 서해로 흘러든다. 시 영역에서 예성강과 임진강, 한강의 길이는 각각 20, 16.5, 10km로서 길지 않지만 이 강들의 하류부에 속하므로 수량이 많다. 시 안에는 북서부의 산지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는 이 강들의 작은 지류들이 있다. 이 하천들은 여름 장마철에 물이 많아지나 다른 계절에는 수량이 적거나 마른다. 영역 내에서 대표적인 하천들은 임진강의 제1지류들인 사미천(길이 62.4km, 유역면적 457.5km²)과 사천강(길이 37.5km, 유역면적 367.0km²)이다. 이밖에 서해로 흘러드는 독립 하천들인 금성천(錦城川, 길이 18.5km, 유역면적 106.4km²)과 월암천이 있다.

예성강, 임진강, 한강을 내놓고 길이가 5km 이상 되는 하천은 총 30개이다. 그 가운데서 10km 이상 되는 하천은 11개로서 36.7%, 20km 이상 되는 하천은 4개로서 13.3%에 지나지 않는다. 홍수는 여름장마철에 내리는 집중호우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데, 1975년 7월 25일에 나타난 홍수가 제일 큰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광복 전에 3개의 저수지밖에 없던 개성시에는 오늘 19개의 크고 작은 저수지가 건설되어 있다. 개성시는 예성강, 임진강, 한강의 하류에 놓여 있으므로 물자원이용에서 개성이 14%, 판문군이 10%, 장풍군이 0.4%, 개풍군이 0.5%를 차지한다.

5. 식물

이 지역은 북반부에서 가장 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지역으로서 북한 남부구의 북부 한계선에 놓여있다. 따라서 식물상은 그 종적구성이 비교적 다양하고 일련의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개성시에는 145과 435속에 속하는 892종의 식물과 24개의 변종이 분포되어 있다. 그 가운데서 쌍떡잎식물종수는 총종수의 71.1%, 겉씨식물 종수는 총종수의 4.1%를 차지한다. 개성시에는 국화과식물과 벼과식물이 제일 많다. 국화과식물에서는 41개의 속에 79종이, 벼과식물에는 37개의 속에 60여 종이 있다. 콩과식물은 18개 속 34종, 꿀풀과 식물은 18개 속 27종, 나리과 식물은 11개 속 25종, 배추과 식물은 13개 속 20여 종, 참바구지과 식물은 10개 속 23종이다. 그밖에 미나리과식물, 현삼과식물, 여뀌과식물, 장미과 식물이 있으며 1속 1종만 있는 과는 참중나무과를 비롯하여 약 36개 과이다.

개성시의 고유한 특산식물은 애기송이풀과 큰잎조개나물(자란초)이다. 그밖에 개성시에는 특산식물로서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물푸레나무과의 미선나무를 비롯하여 희귀한 종들인 보리수나무과의 왕보리수나무, 인동덩굴과의 병꽃나무, 바구지과의 진돌쩌귀, 국화과의 분취 등이 있으며 개풍군에 있는 백송도 개성시에서 특징적인 종으로 되어 있다. 식물생활형에 따르는 종구성 비율에서 교목이 22.8%, 초본식물이 75.2%, 덩굴식물이 2%이다. 개성시의 식물분포는 자연지리적 조건, 식물상의 종적구성과 식물피복의 특성으로부터 두 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묘지산, 천마산, 수용산을 비롯한 비교적 높은 산들이 집중되어 있는 개성과 장풍 지역에는 북한 온대남부식물, 온대북부식물 분포구의 점이적인 지대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다.

여기에는 소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검팽나무, 으름덩굴, 당마가목, 초피나무, 탱자나무, 보리수나무, 산외, 조릿대, 누리장나무 등이 있다. 특히 천마산 일대는 애기송이풀, 큰잎조개나물 같은 특산식물들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상이 매우 다양하다. 군락들의 수직분포를 보면 일정한 대성을 나타내고 있다. 해발 300m 이하에는 대체로 소나무군락이 분포되었고 500~600m 이상에는 신갈나무를 주로 하는 참나무군락이 분포되어 있으며 소나무군락과 참나무군락 사이에는 소나무와 참나무의 혼성림이 이루어져 있다. 천마산과 송악산 일대에는 천남성, 원추리, 참취, 우산나물, 도라지, 송이버섯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해발 300m 이하의 야산과 벌지대로 되어 있는 개풍군, 판문군에는 북한 온대남부 식물분포구의 특징을 나타내는 식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종적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다.

여기에는 소나무와 떡갈나무가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그밖에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오리나무, 아까시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누리장나무, 보리수나무들이 많이 자라고있다. 예성강 하류지구에는 때쭉나무가, 남쪽해안선 일대와 간석지에는 나문재, 해흥나물, 퉁퉁마디, 갯질경이, 전동싸리, 갯메꽃, 갈갯능쟁이 등이 있다. 산지에는 도토리와 밤, 돌배, 머루, 다래, 산사자, 으름덩굴, 산딸기 등의 산열매와 산죽, 초피, 독활, 삽주, 시호, 승마, 지모와 같은 약초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개성시에는 인삼을 비롯하여 70여 종의 귀중한 약초류들이 분포되어 있다.

6. 동물

이 지역에는 지리적 위치와 자연경관의 특징으로 하여 다종 다양한 동물들이 있다. 시 안에서는 지금까지 616종의 동물이 조사 등록되었다. 그 가운데서 무척추동물이 253종, 척추동물이 363종(물고기류 76종, 양서류 10종, 파충류 12종, 조류 250여종, 짐승류 33종)이다. 개성시 짐승류의 지리적 분포에서 기본적인 특징은 저지대 동물상의 전형적인 분포지역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개성시에 분포된 남쪽형 짐승은 두더지, 주름코박쥐, 집박쥐, 서선졸망박쥐, 산토끼, 집쥐, 비단털쥐, 여우, 삵, 표범, 고라니, 감색옷수염박쥐, 메박쥐, 흰족제비 등이다. 황해북도에 비하여 76종이나 더 많은 철새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영역 내에서 번식하는 새들은 232종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쇠백로, 노랑부리백로, 큰물닭, 흰꼬리솔딱새, 꾀꼬리, 박새 등이다. 생태에서 특이한 새류가 분포되어 있다. 크낙새는 원래 송악산이 기본 서식지였는데 지금은 서식지를 옮겨 박연리와 장풍군 일대에서 새끼를 치면서 살고 있다.

영역 내에 있는 양서류와 파충류는 22종이며 그 과별 구성은 도롱뇽과 1종, 무당개구릿과 1종, 두꺼빗과 1종, 맹꽁이과 1종, 청개구릿과 1종, 참개구릿과 5종, 거북잇과 1종, 자랏과 1종, 도마뱀과 3종, 장지뱀과 1종, 뱀과 5종, 살무삿과 1종이다. 임진강과 그 근처에 있는 늪, 강 하천들에는 북한 거북이류 가운데서 유일하게 민물에 사는 종인 남생이가 있다. 또한 시 안에는 북한 뱀 가운데서 몸체가 가장 크며 보혈강장제로 의의가 큰 황신혹점인 구렁이가 살고 있다. 개성시에서는 지금까지 141종에 달하는 낮나비류가 조사ㆍ등록되었다. 이것은 황해북도(112종)나 황해남도(118종)에 비하여 종적구성이 대단히 풍부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여기에는 수풀알락희롱나비, 검은줄희롱나비, 긴꼬리범나비, 숫돌나비를 비롯하여 많은 나비가 있다. 특히 천마산 일대에는 북한 특산종나비인 산뱀눈나비가 분포되어 있다. 개성시에는 76종의 민물고기(뱀장엇과 1종, 멸칫과 2종, 빙엇과 5종, 잉엇과 37종, 메깃과 2종, 자갯과 4종, 송사릿과 1종, 공미릿과 1종, 두렁허릿과 1종, 송엇과 2종, 가물칫과 1종, 꽃붕엇과 1종, 농엇과 3종, 민엇과 1종, 뚝짓과 1종, 망둑엇과 7종, 둑중갯과과 1종, 보가짓과 1종, 개소경과 1종, 말뚝망둑엇과 1종, 장대과 1종, 서대과 1종)가 있다.

7. 토양

이 지역에는 구릉성 지대와 낮은 벌지형이 우세하고 기온이 높아 수평대성 토양만이 분포되어 있다. 적갈색산림(황갈색)토양은 밭토양 면적의 89.6%를 차지한다. 아호비령산줄기와 멸악산줄기(滅惡山~)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이 지구의 북부산지의 정상에는 갈색산림토양이 반점상으로 덮여있고 예성강, 임진강, 한강 등의 어귀연안들에는 충적지토양과 간석지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충적지토양은 밭토양 면적의 10.2%를 차지한다.

판문군과 개풍군을 비롯한 낮은 벌들에는 적갈색산림토양, 충적지토양, 간석지토양 등이 오래 전부터 논으로 개간되어 변화된 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논토양의 97.3%가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지대에 분포되어 있다. 논토양은 시 농경지면적의 42.36%를 차지하며 논토양에서 충적지 논토양은 77.56%, 황갈색논토양은 약 14%를 차지한다. 바닷가연안에는 간석지 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개성시 황룡산
개성시 황룡산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개성시 황룡산
박연리 대흥폭포
박연리 대흥폭포담
박연리로 가는 고개
 
1 /7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개성시 자연
이 지역은 서해저지대 강화만(江華灣) 연안 저지대의 북부에 위치해 있다. 지형은 구릉성지형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북부에서 남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져 남부지역은 예성강과 한강 등으로 둘러싸여 비교적 넓은 벌이 전개되어 있다. 아호비령산줄기가 북에서 남으로 뻗어 있으며, 이 산줄기의 천마산에서 동쪽의 화장산(華藏山, 559m), 배용산(390m), 대덕산(大德山, 236m)으로 잇닿은 지맥이 뻗어 있는데, 이 지맥은 임진강의 지류인 사미천(沙彌川)의 분수령으로서 개성시와 장풍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시의 북부산지에는 화강암이 풍화작용을 받아 생긴 기암절벽이 있는데, 이곳에 우리나라에서 이름난 폭포인 박연폭포(朴淵瀑布)가 있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북쪽에 천마산(天磨山, 757m), 그 남쪽에 송악산(松嶽山, 490m)이 솟아 있고, 동남쪽에 용수산(龍首山, 178m), 서남쪽에 진봉산(進鳳山, 310m)이 솟아 있다. 지질은 하부원생대 옹진암군, 상부고생대 평강암군, 중생대 단천암군의 관입암류가 분포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금, 연, 아연, 동 등 금속자원을 비롯하여 중정석, 암정석, 화강석, 이탄, 초무연탄, 고령토와 같은 여러 가지 지하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겨울은 그리 춥지 않고 여름은 길고 무더운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연평균기온은 10.1℃, 1월 평균기온은 6.2℃, 8월 평균기온은 24.7℃이다. 10℃이상 적산온도가 3,500~3,800℃ 정도로서 온열조건이 좋고 식물의 생육일수가 길다. 강수량은 계절적으로 심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연평균강수량은 1,329mm로서 북한에서 강수량이 많은 지대에 속하며 지역적 차이도 심하고 집중호우도 자주 내린다. 연평균상대습도는 74%이다. 첫눈은 대체로 11월 20일에 내린다. 첫서리는 10월 14일경, 마감서리는 4월 24일경에 내린다. 무상기는 약 180일이다. 바람은 북서풍이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계속되고 여름에는 남서풍이 우세하다. 하천은 임진강의 제1지류인 사천강(길이 37.5km)을 비롯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작은 하천들이 흐르고 있다.

저수지로는 동창저수지(東倉貯水池), 용흥저수지(龍興貯水池), 송도저수지(松都貯水池) 등이 있다. 이 지역은 북한 온대남부식물, 온대북부식물 분포구의 점이적인 지대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는데, 주요 수종으로는 소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검팽나무, 으름덩굴, 당마가목, 초피나무, 탱자나무, 보리수나무, 산외, 조릿대, 누리장나무 등이 있다. 특히 천마산, 수용산 일대는 애기송이풀, 큰잎조개나물 같은 특산식물들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상이 매우 다양하다. 천마산과 송악산 일대에는 천남성, 원추리, 참취, 우산나물, 도라지, 송이버섯 등 산중부원도 풍부하다. 이밖에 인삼을 비롯하여 70여 종의 귀중한 약초류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 지역은 동물상도 다종다양하다. 주요 동물로는 두더지, 주름코박쥐, 집박쥐, 서선졸망박쥐, 산토끼, 집쥐, 비단털쥐, 흰족제비, 큰물닭, 흰꼬리솔딱새, 꾀꼬리, 박새 등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희귀동물인 크낙새는 원래 송악산이 기본 서식지였는데 지금은 서식지를 옮겨 박연리와 장풍군 일대에서 새끼를 치면서 서식하고 있다. 이밖에 양서류와 파충류, 곤충류, 어류들도 많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천마산 일대에는 북한 특산종 나비인 산뱀눈나비가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적갈색산림토양, 충적지토양, 황갈색논토양 등이 분포되어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개성시 황룡산
개성시 황룡산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개성시 황룡산
개성시 제덕산봉우리
박연리 대흥폭포
박연리 대흥폭포담
 
1 /7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개성시 자연
이 지역은 한강(漢江)을 끼고 있으며 해발 100m 안팎의 구릉성벌로 되어 있어 농업발전에 유리하다. 영역 내에 진봉산(進鳳山, 310m)을 비롯하여 덕물산(德勿山, 288m), 군장산(軍藏山, 277m), 여니산(239m), 대덕산(236m), 한이산(219m)과 같은 그리 높지 않은 산들이 솟아 있다.

한강 하류연안의 임한리ㆍ월정리ㆍ조강리ㆍ신흥리ㆍ영정리 일대에는 임진강어구벌(臨津江~)에 속하는 월암벌(月巖~)이, 사천강(沙川江) 연안의 판문읍ㆍ평화리ㆍ판문점리ㆍ동창리ㆍ대룡리 일대에는 임진강어구벌에 속하는 사천벌(沙川~)ㆍ판정벌이 전개되어 있다. 지질은 임진계층과 황해층군이 분포되어 있는데, 판문읍ㆍ동창리ㆍ평화리ㆍ판문점리ㆍ전재리ㆍ선적리 일대에는 중생대 화강암이, 진봉리ㆍ상도리ㆍ덕수리ㆍ화곡리 등지에는 고회암과 석회암이, 신흥리ㆍ월정리ㆍ조강리ㆍ임한리 등지에는 사암ㆍ결정편암이 분포되어 있다.

여기에는 형석, 금, 연, 아연, 석회석 등이 매장되어 있고 그밖의 지역에는 건재원료로 많이 쓰이는 석비레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 지역은 북반부에서 제일 남쪽에 위치해 있고 넓은 벌을 끼고 있을 뿐 아니라 북쪽에는 산들이 막혀 있고 남쪽이 바다를 향하여 열려져 있으며 일조시간이 길고 기온이 높아서 두벌농사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10.6℃ , 1월 평균기온은 -5.1℃ , 8월 평균기온은 24.7℃ , 최고극기온은 35.6℃ (1972년 7월 20일), 최저극기온은 -22.6℃ (1981년 1월 4일), 10℃이상 적산온도는 3,784℃ 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238mm이다. 7~8월에 연강수량의 53.9%가 내린다. 1일 최대강수량은 188.2mm(1980년 8월 17일), 2일 최대강수량은 322.1mm(1975년 7월 24~25일)이었다.

첫서리는 10월 28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14일경에 내린다. 겨울철과 봄철에는 북서풍이, 여름철에는 남서풍이 우세하며 그 지역적 차이가 크다. 4월부터 5월 초에 걸쳐 바다에서 찬바람이 불어와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하천은 임진강으로 흘러드는 사천강과 그 지류인 판문천, 서해로 흘러드는 월암천이 유입되어 있는데, 길이가 5km 이상 되는 하천이 5개, 길이가 20km 이상 되는 하천이 2개(사천강, 판문천)이다. 하천의 어귀에는 6개의 배수갑문이 건설되어 있다.

저수지는 덕수저수지(德水貯水池)를 비롯하여 선적저수지(仙跡貯水池), 동창저수지(東倉貯水池), 화곡저수지(禾谷貯水池), 영정저수지(嶺井貯水池), 신흥저수지(新興貯水池), 상도저수지(上道貯水池), 양사저수지(羊司貯水池), 군장산저수지(軍藏山貯水池), 삼봉저수지(三峯貯水池), 밤릉저수지, 석현저수지(石峴貯水池), 평화저수지(平和貯水池), 흥천저수지(興天貯水池) 등이 건설되어 있다. 산림은 군 전체면적의 33%를 차지하는데 소나무, 잣나무, 노간주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밤나무, 오리나무, 개암나무, 싸리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아래로 억새, 그늘사초, 삽주, 고사리, 도라지, 원추리, 할미꽃 등 초본식물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동부지역에는 꿩이 많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에 적갈색토양이 분포되어 있으며 사천강, 임진강, 한강 연안과 낮은 지역에는 충적지토양과 논토양, 간석지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개성시 황룡산
개성시 황룡산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개성시 황룡산
개성시 제덕산봉우리
박연리 대흥폭포
박연리 대흥폭포담
 
1 /7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