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평안북도 천마군 경제
|
천마군의 경제는 중앙공업과 지방공업 그리고 곡물생산을 위주로 하는 발전된 농촌경제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공업에서 기본은 유색금속생산을 위한 채굴업이다. 군에서는 이미 있던 광산들을 현대적으로 개건 확장하고 새로운 광산들을 개발하여 유색금속광물생산을 늘리고 있다. 지방공업은 지방원료원천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식료품, 방직, 일용품, 피복, 제약 등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서는 간장, 된장, 기름, 청량음료와 채소, 산나물 가공품 등 여러 가지 식료품 그리고 가구, 털가죽가공품, 부엌세간, 천과 옷, 종이, 의약품들이 생산된다.
천마군은 평안북도에서 산림자원이 많은 지역의 하나로서 대관군의 버금간다. 영산리에는 통나무생산을 위주로 하는 임산사업소가, 신시리에는 갱목생산을 기본으로 하는 갱목사업소가 있다. 생산된 통나무와 갱목은 평안북도 안의 건설장들과 탄광, 광산들에 공급된다. 이 지역은 평안북도에서 농경지비율이 낮은 지역에 속해 있다. 특히 논이 적다.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7% 되는데, 그 중 밭은 81%, 논은 12%를 차지한다. 곡물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옥수수는 전반 지역에서, 벼는 백자리, 송현리, 신시리를 비롯한 삼교천, 경자천, 천마강 연안 지역에서 재배된다. 채소업에서는 주로 배추, 무, 고추 등이 재배된다.
천마군은 일조율이 높아 평안북도에서 참외와 수박이 잘 되는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공예작물은 담배와 들깨가 재배된다. 축산업이 발달되어 있는데, 산이 많은 지대조건에 근거하여 수천 정보의 방목지를 조성하고 소, 양, 염소를 비롯한 초식성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이밖에 생산성이 높은 돼지, 거위 등 여러 가지 가축들도 사육하고 있다. 소는 주로 신창리, 신시리, 금골리, 영산리 등 지역에서 많이 사육하며 돼지는 주로 천마읍, 신창리, 서고리 등 지역에서 많이 사육하고 있다. 과수밭은 농경지면적의 4%를 차지하는데, 그 대부분이 서부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사과, 배, 복숭아, 포도, 자두 등이 산출된다. 이밖에 양잠업이 발달되어 있는데, 누에고치 가운데서 고치가 40%를 차지한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