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평양시 대성구역 개요
|
평양시 동북쪽에 위치한 구역. 동쪽은 삼석구역과 승호구역, 남쪽은 사동구역, 서쪽은 모란봉구역, 북쪽은 용성구역과 접해 있다. 현재 행정구역은 15동으로 되어 있다.
|
 |
|
 |
|
 |
|
 |
|
|
|
대성구역 대성종합직매점 당과류매대(사탕,과자판매대) |
|
|
|
|
 |
|
 |
|
|
|
|
|
 |
|
 |
|
|
평양시 대성구역 지명유래
|
대성산이 있는 지역이므로 대성구역이라 하였다.
|
|
|
평양시 대성구역 역사
|
1958년 6월에 당시 평양시 서구역의 일부와 북구역의 일부를 병합하여 평양시에 대성구역을 구성하여 미산동(嵋山洞), 청암동(靑岩洞), 용흥동(龍興洞), 용북동(龍北洞), 용남동(龍南洞), 전승동(戰勝洞), 흥부동(興富洞), 와산동(臥山洞), 고산동(高山洞), 안학동(安鶴洞), 삼신동(三神洞), 대성리(大城里), 임흥리(林興里) 등 13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1959년에 평안남도 대동군 화성리(和盛里)ㆍ청계리(淸溪里)를 흡수하였다가, 1959년에 화성리와 청계리를 다시 용성구역에 편입하였다. 1960년에 와산동ㆍ용흥동, 용북동을 서성구역에, 흥부동ㆍ전승동을 모란봉구역에 편입하고, 미산동 일부를 분리하여 미암동(嵋岩洞)을 신설하였으며 대성리ㆍ임흥리를 동으로 개편하였다.
1963년에 미산동을 미산일동(嵋山一洞)과 미산이동(嵋山二洞)으로 분리하고 미산동을 폐지하였으며, 1965년에 서성구역의 용북동(龍北洞)ㆍ용흥일동(龍興一洞)ㆍ용흥이동(龍興二洞)을 흡수하였다.
1967년에 고산동 일부와 임흥동 일부를 병합하여 청호동(靑湖洞)을 신설하였으며, 1972년에 용북동을 분리하여 용북일동(龍北一洞)과 용북이동(龍北二洞)을, 용흥일동 일부와 용흥이동 일부를 병합하여 용흥삼동(龍興三洞)을, 미산일동 일부와 미산이동 일부를 병합하여 미산삼동(嵋山三洞)을 각각 신설하고 용북동을 폐지하였다. 1979년에 미산삼동을 미산이동에 편입시키고 미산삼동을 폐지하여 산하에 16개 동을 두고 관할하였다.
1983년에 용북일동과 용북이동을 병합하여 용북동을 복귀시키고 용북일동과 용북이동을 폐지하였으며, 1990년에 삼신동을 고방산동(高坊山洞)으로 개칭하였다가, 같은 해에 고방산동을 갑문동(閘門洞)으로 재차 개칭하였다. 1995년에 용흥이동 일부를 용흥삼동에 편입하는 동시에 용흥삼동 일부를 용흥이동에 편입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5동(갑문동, 고산동, 대성동, 용남동, 용북동, 용흥일동, 용흥이동, 용흥삼동, 임흥동, 미산일동, 미산이동, 미암동, 안학동, 청암동, 청호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
|
|